별점별점별점별점별점
  • 읽고싶어요
  • 읽고있어요
  • 읽었어요
  • 우주
  • 3월 28일 오후 4:02 공개
(미술관을 빌려드립니다) 스웨덴
지난해 북유럽 소설을 읽으면서..북유럽화가들에게로 관심이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생각보다 알고 있는 화가도 많지 않았지만..그보다 더 심각(?)했던 건 그림은 이미 알고 있었지만,화가의 이름과 나라를 모르고 있었던 거다... 스웨덴국립미술관컬렉션전..소식을 듣자마자 예매를 해 놓고서도..정작 북유럽전시라고 착각하고 있었으니..전시를 보기전에 다 읽으려던 계획은 실패했다.부랴부랴 앞페이지 조금 읽고 갔는데,책에서 만난 화가들의 그림이 있어 반가웠다. 무엇보다 이 책의 미덕(?)이라면 나라별로 화가들을 소개해 주고 있다는 점이다.


북유럽국가(스웨덴, 덴마크,노르웨이)에 관한 간략한 설명을 듣는 것도 기쁜 일이었지만, 전시장에서 마음으로 감상한 그림에 대한, 설명을 다시 한 번 복기할 수 있어 좋았다.


"스웨덴 최초로 인상주의를 받아들인 칼 스콘베르그의 대표작 <대운하>는 황금빛의 화려한 축제의 향연을 그렸던 카날레토의 작품과는 반대로 베니스 사람들의 평범한 일상을 노래하고 있다."/80쪽 '추적추적 내리는 비가 먼저 눈에 들어온 까닭에 '대운하'라는 제목이 궁금했더랬다. 당연히..하늘을 나는 갈매기가 눈에 들어왔을리도 없고..이 작품이 화가의 유작이 되었다는 사실은 더더욱 몰랐다..조금은 평범한 그림이라 생각했었는데...설명을 읽고 갔다면..조금 다르게 보였을까..이 전시..한 번 더 봐야 할 것 같다... "스콘베르그는 이 작품에서 잿빛의 편안한 톤으로 영욕의 세월을 버텨온 베니스의 평범한 일상을 보여준다.다른 화가들과 달리 화려한 베니스가 아닌 평범한 일상을 그린 이유는 그가 이 작품을 완성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33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난 것에서 찾을 수 있다"/80쪽




스벤 리샤르드 베르크의 '북유럽 여름의 저녁'은 오지 않았다. 대신 '보딜 파베르의 초상'을 만날수 있었다. 그림에 대한 설명은 아쉬웠지만.. 스웨덴미술관 관장을 했었다는 이력이 눈에 들어왔다..당연히 부인의 초상화일거란 예감은..틀렸다. 친구이자 연인이었다고 했다...생생하다는 느낌보다는 뭔가 지지 않겠다는..단오한 표정으로 읽혀졌다.


아침식사 부터 여유롭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거, 여인의 표정에서 고단함이 느껴지기도 했지만..한나 파울리의 <아침 식사>에사 나를 사로잡은 건 그림자..였다.파리 유학 당시 인상파의 빛 사용을 그대로 작품에 담았다는 사실을 알았다. '빛이 흘러넘친다'는 표현 그대로인 작품..그런데 당시에는 보수적 비평가들은 보수적이었나 보다. "식탁보에 보이는 얼룩덜룩한 빛의 흔적들은 그녀가 작업 중 붓을 닦은 것처럼 보인다고 조롱했다"




7명의 화가( 칼 라르손,안데르스 소론,요한 프레드릭 그루텐,구스타프 피에스타드,스벤 리샤르드 베르크,한나 파울리,칼 스콘베르그) 를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