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나 드라마 작가에 대해 감탄할 때가 있다. 결혼을 해 본 적이 없는 작가가 부부 갈등이나 고부간의 갈등 또는 외도 등에 대해 잘 그려 내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사업에 실패해서 폐인이 되어 본 적이 없는 작가이면서도, 불치병에 걸려 시한부 인생을 살아 본 적이 없는 작가이면서도, 노동자의 삶을 살아 본 적이 없는 작가이면서도 그런 삶의 모습을 잘 그려 내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체험하지 않았으면서도 온갖 것을 다 체험한 듯 인간의 사실적 모습을 탁월하게 그려 내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혹시 작가는 그런 삶을 사는 사람을 직접 만나 취재했을까? 노동의 현장에서 일하기도 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에 귀기울이며 공감하기도 하면서 삶의 체험이 쌓이게 했을까?

 

 

만약 그런 게 아니라면 ‘체험 부족’을 뛰어넘을 만큼 관찰력과 상상력과 통찰력이 뛰어난 것이겠다. 이런 게 바로 ‘작가적 재능’이리라.

 

 

글을 잘 쓰려면 둘 중에 하나는 있어야 할 것 같다. 삶의 체험이 많든지 작가적 재능(관찰력, 상상력, 통찰력 등)이 있든지.

 

 

이것도 저것도 없는 사람은 글쓰기의 한계를 느낄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작가적 재능이 없고 삶의 체험이 많지 않은 사람이 글쓰기의 한계를 극복할 방법은?

 

 

작가적 재능은 노력으로 얻어지는 게 아니므로 ‘독서하기’밖에 없을 것 같다. ‘남의 경험을 내 것으로 만드는 행위’로서의 독서를 하면 되지 않을까.

 

 

이 글과 관련하여 참고할 만한 글.

 

 

기술만으로는 훌륭한 글을 쓰지 못한다. 글 쓰는 방법을 아무리 열심히 공부해도 내면에 표현할 가치가 있는 생각과 감정이 없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훌륭한 생각을 하고 사람다운 감정을 느끼면서 의미 있는 삶을 살아야 그런 삶과 어울리는 글을 쓸 수 있게 된다. (...) 기술만으로 쓴 글은 누구의 마음에도 안착하지 못한 채 허공을 떠돌다 사라질 뿐이다.(264쪽)
- 유시민,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에서.

 


누구든 노력하고 훈련하면 비슷한 수준으로 해낼 수 있다.
논리 글쓰기는 문학 글쓰기보다 재능의 영향을 훨씬 덜 받는다. 조금 과장하면 이렇게 주장할 수 있다. 노력한다고 해서 누구나 안도현처럼 시를 쓸 수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누구든 노력하면 유시민만큼 에세이를 쓸 수는 있다.(59쪽)
- 유시민,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에서.

 

 

위의 인용문을 이렇게 읽었다.

 

 

훌륭한 글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만 필요한 게 아니라 어떤 생각과 감정이 필요하다는 것. 생각과 감정은 삶과 연관이 있으므로 결국 삶으로 글을 쓴다는 것. 그러므로 올바르게 살아야 글을 잘 쓰게 된다는 것.

 

 

노력하면 시나 소설을 잘 쓰게 되는 건 아니지만 에세이나 서평은 잘 쓸 수 있다는 것.

 

 

(이렇게 쓰고 보니 머릿속 생각이 정리가 됩니다. 내가 쓰고 싶은 것은 시나 소설이 아니고 에세이나 서평이니까 희망을 가져도 되겠지요?)

 

 

 

 

 

 

 

 

 

 

 

 

 

 

 

 

 

 

 


 

 

 


댓글(6)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5-07-03 18: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시를 쓰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시를 쓰는 사람을 보면 존경스럽고 직접 만나서 시에 대해서 대화를 나누고 싶어요. ^^

페크pek0501 2015-07-04 16:19   좋아요 0 | URL
님은 시에 관심이 많은가 보군요. 저도 시를 쓰는 사람을 보면 존경스러워요.
흉내도 낼 수 없어서요. 시 쓰는 친구가 있는데 시만 잘 쓰는 게 아니라 산문도 잘 써요. 문학적으로 써요.
시 쓰다가 소설가가 된 사람들이 의외로 많아서 놀랐는데 모든 글은 하나로 통한다, 가 될 것 같아요. 저도 시에 관심 있어서 한때 시집만 사서 읽던 시절이 있었답니다. 시는 전혀 못 써요. ㅋ

무플이 될 뻔했는데 첫 댓글을 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꾸우벅~

2015-07-05 12: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7-06 07: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7-06 16: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7-07 09: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나는 평범하게 자랐고 지금도 (아마) 평범한 사람에 속할 것이다. 굴곡 많은 인생이 아니었다는 점은, 파란 많은 인생이 아니었다는 점은 글쓰기에서 ‘약점’일 것이다. 사회에서 다양하게 일을 해 보지 못함도 글쓰기에서 ‘약점’일 것이다. 여러 사람들을 만나서 많은 얘기를 나누지 못함도 글쓰기에서 ‘약점’일 것이다. 내 글이 작가적이지 않은 이유이다. 어쩌면 나는 끝까지 글을 피상적으로밖에 쓸 수 없을지 모르겠다. 그래서 끝까지 만족스런 글쓰기를 할 수 없을지 모르겠다.

 

 

 

요즘 내 머릿속을 빙빙 도는 생각. 내가 ‘글쓰기 능력의 한계’를 느끼는 것은 ‘체험 부족’ 때문이라는 것. (책을 읽어서) 머리로 아는 것과 (직접 경험해서) 가슴으로 아는 것은 다르다는 것. 어떻게 다를까? 예를 들면 ‘슬픔’에 대해서라면, 그리고 ‘분노’에 대해서라면 그것을 가슴으로 깊이 앓고 난 사람들만이 그것의 본질에 눈을 뜨게 된다는 것. 그저 책을 통해서 슬픔이나 분노를 접한 사람은 그것의 본질에 눈을 뜨지 못하게 된다는 것. 그 결과 앎의 깊이가 다르다는 것. 이 둘의 차이가 글을 쓸 때 얼마나 다르게 나타날까 하는 생각.

 

 

 

그래서 ‘체험 부족’을 ‘책을 깊게 읽기’로 뛰어넘어 보려고 노력해야겠다, 가 정답일 것 같아 공부해야겠다고 자주 생각한다. 책을 한 권 읽을 적마다 그 내용이 내게 재미만 주는 게 아니라 살과 뼈와 피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살과 뼈와 피가 되는 독서를 할 때 나와 많이 다른 타인과 소통할 수 있고 인간을 이해하는 능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믿을 것이다. 믿을 수밖에 없다. 뾰족한 수가 없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실 2015-07-02 18: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으신 생각입니다.
한권을 읽더라도 제대로 읽기.
저에게도 꼭 필요한 독서법입니다^^
내일 독서회에서 `참을수없는 존재의 가벼움` 토론도서라 다시 읽는데 더 좋아집니다.^^

페크pek0501 2015-07-03 12:54   좋아요 0 | URL
`참을수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읽었는데, 어떤 분의 리뷰를 보고 저도 다시 들춰 보았더니 새롭게 느껴지는 글이 있었어요. 밑줄친 부분만 보는 데도 새로워서 놀랐지요.
역쉬~~ 책은 두 번 이상 읽어야 제대로 읽었다고 할 수 있겠다 싶었지요...

오늘 날씨 좋네요. 맞바람 쳐서 집이 시원해요. 밖에 나가도 시원할까요?

2015-07-02 23: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7-03 12:5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