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유혹 1 니코스 카잔차키스 전집 25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안정효 옮김 / 열린책들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그 당시엔 성(性)이 없었나 보다. 나자렛에서 태어났기에 그저 '나자렛 예수'라 불렀다.  그런데 이 이름에는 두 가지 사실이 숨어 있다.   

  첫째, 예수가 태어난 곳이 베들레헴의 말구유가 아니라 나자렛의 목수 요한의 집이라는 사실.  

  둘째, 예수는 결코 날 때부터 '그리스도'는 아니었다는 사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가 신앙의 대상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 오른뺨을 때리면 왼뺨을 내줬던 사람이었기에? 그런 것보다는 그가 앉은뱅이를 춤추게하고 장님을 눈뜨게 했으며 다섯 조각의 빵과 물고기 두 마리로 오천명의 장정을 먹인 기적을 보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이적들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예언자를, 유대의 왕을 그리고 '하느님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만들었다.  

  이렇게 신이 된 예수가 골고다 언덕을 오르는 모습은 의미심장하다. 고뇌와 고통이 감추어진 십자가를 메고 예수는 비틀비틀 발걸음을 옮긴다. '나는 죽기위해 태어났고 너희는 보기위해 살아왔노라' 바야흐로 예수의 십자가가 언덕 꼭대기에 곧추서고 그의 손발에 못을 박는 망치 소리가 클라이막스를 알린다. 예수는 다음 씬을 지루하게 기다리며 고개를 숙이고 있다가 하나님의 '액션' 소리가 떨어지자 최후의 힘을 짜내 마지막 대사를 시작한다. '앨리 앨리 라마 사박타니' 사람들의 가슴에 진한 감동을 남길 명대사를 내뱉고 예수는 드디어 눈을 감는다.  

  '캇트!'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바로 여기에서 중지를 외친다. 예수가 신으로서 십자가에 매달렸다면 그것은 세계를 향한 쇼에 지나지 않는다. 그곳에는 한 명의 배우. 주어진 역할에 로봇처럼 임하는 꼭두각시가 있을 뿐이다. 하지만 예수는 시뻘건 피를 흘렸다. 내 몸에서 흐르는 것과 똑같은 색깔의 피. 그리고 고통에 찬 신음을 내뱉는 한 명의 인간으로, 너무나 나약하고 외로운 사람의 모습으로 십자가에 못박혔다. 그리하여 이런 소설이 탄생하게 되었다.  

  '길고 긴 골고다 언덕을 나 홀로 걸어가는 구나. 나를 메시아라 부르던 이들은 어디 갔느냐. 내 대신 십자가를 짊어질 사람이 한 명도 없구나. 베드로야, 그래 이 간사한 녀석아. 수제자로 불리던 너는 새벽 닭이 울기 전에 세 번씩이나 내 가슴에 못질을 했지. 힘세고 듬직한 야고보 너는 나와 눈이 마주치는 것이 두려워 사람들 사이로 그 큰 몸을 숨기는 구나. 요한 나의 순종하는 어린 양 요한아. 너는 어두운 뒷골목에 머리를 쳐박고 눈물이나 질질 흘리는 것으로 선택받은 사도의 책임을 다하는구나. 아아, 막달라의 여인이여. 나는 왜 당신과 함께 인간의 행복을 누리지 못했던가. 하느님의 축복아래. 수 많은 아들 딸들을 낳아 어머니와 아버지를 기쁘게 해드릴 수 있었을 텐데.' 이 때 누군가 이렇게 외쳤다.  

  '당신이 유대의 왕 그리스도라면 당신 자신이나 구원해 보시지!'  

  예수는 이렇게 말했다.  

  '주여 왜 나를 버리시나이까!' 그리고 그 말은 이런 뜻이었다. '아 인간적으로, 너무나 고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토리텔링의 비밀 -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
마이클 티어노 지음, 김윤철 옮김 / 아우라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 리뷰다. 물론 앞에 것 2개가 있긴 했다. 하지만 그건 리뷰가 아니지. 왜냐하면 노벨문학상을 받기로 마음먹기 전에 쓴 것이니까. 한 마디로 나는 올해부터 다시 태어났다 이말씀.  

 그런데 웬걸 점심 먹고 큰맘 먹고 눈치까지 먹으며 쓴 리뷰 약 11.2줄 332자의 글이 사라져 버리고 말았다. 스토리텔링의 비밀 첫번째, 당신이 지금 내 글을 읽으며 쓰고 있던 글의 저장 버튼을 눌렀다면 그것은 당신이 나에게 공감을 하기 시작했다는 증거. 만약 당신이 구글 크롬의 윈도우 창을 닫고 다시 하던 일을 재개했다면 글쎄, 노벨문학상은 아직도 멀구나.  

보통 사람들이 리뷰를 통해 알고자 하는 것은 단 한가지다. 그건 바로 이 책이 돈 주고 살만한 가치가 있느냐 아니냐 하는 것. 결론부터 말해주면 나의 경우는 좀 당한 것 같다.  

나는 How To에 대한 지침서를 경멸한다. How To는 학원에서 가르치는 것이다. 시간이 없을 때, 깊이를 원하지 않을 때, 사람들을 혹하게 만들고 싶을 때 혹은 돈을 벌고 싶을 때 우리는 책 제목에 '비밀'이라는 단어를 넣는다. - 더 많은 돈을 벌고 싶은 사람들은 제목에 '습관'을 넣는다 - 그런데 이 책은 살짝 요령을 부렸다. 비밀 뒤에 '아리스토텔레스'를 붙였으니까. 그리고 내가 낚인 곳도 바로 여기 '아리스토텔레스'니 마냥 허접한 책이라고 보기엔 그래도 뒤끝이 있다 하겠다.  

누군가는 이 책 전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원문 '시학'을 보라고 했지만 그럴 필요까지는 없을 것 같다. '시학'의 내용이 원체 짧은데다 그 핵심만을 인용해 책 전반을 구성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이 책에 두 가지 미덕이 있다면 하나는 '시학'을 비교적 읽기 쉽게 번역, 인용하고 있다는 점이고 하나는 맺음말을 꽤 진실되게 쓴 점이다. 이 책을 사고 싶은 사람이라면 당장 서점으로 달려가 맺음말만 보라. 그 안에 글쓰기의 해답이 들어있다. 결국 글을 쓰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이 한 마디만 해주면 그만이다.  

바로 '너 자신의 이야기를 써라'라는 것.  

언젠가 시오노 나나미가 자신의 책에서 서머싯 몸의 단편 소설을 운운하며 '모르는 것은 쓸 수 없다'라고 했을 때 그녀의 글쟁이로서의 무능력과 또 그것을 대놓고 드러내는 용기에 조소와 연민을 품었드랬다.  

하지만 나는 이제서야 깨달았다. 모르는 것은 정녕 '쓸수 없다.'  

이것은 어느 초보 작가 아니 아마추어 아니 아니 어느 무지랭이의, 고해성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프 코스터의 재미이론
라프 코스터 지음, 안소현 옮김 / 디지털미디어리서치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라프코스터를 모함하기 전에 한번 더 이 책을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귀찮음은 모든걸 무효케 하리라.

'게임을 잘만드는 101가지 방법' 이라던가 '게임 개발자가 알아야할 21가지' 라던가 하는 책은 어딘지 모르게 천박한 냄새가 나고 입시 지옥에서 느껴지는 암기식 영단어처럼 나를 괴롭힌다. 이런 책들은 나의 눈을 의식적으로 피하게 만드는데 그것은 뿌리를 밝혀 내고자 하는 나의 결벽증 때문이 아닐까 한다.

그런 의미에서 라프코스터의 '재미이론'은 위에 언급한 책들처럼 거부감을 일으키는 제목은 아니었다. 우리는 무엇을 보고 '재미'를 느끼는지 '재미'라는 것은 어떤 감정인지를 밝혀 나가는 책. 하지만 이런 내용들은 우리가 어렸을 때 부터 이미 어렴풋이 느껴왔던 것들 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이 책은 그저그런 책에 불과한 것인가? 한가지만 알아두자

라프코스터가 책으로 정리하기 전까지는 우리가 그것을 어렴풋이 알고 있었다는 것조차 깨닫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이 책을 읽고나서야 아! 이런 것들은 어릴 때 부터 느껴왔던 것들이야! 다 알고 있는 내용이지! 라며 우쭐해 지는 것이다.

아! 우리는 얼마나 우매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지운의 숏컷
김지운 지음 / 마음산책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김지운 감독은 한국 영화사상 가장 훌륭하게 장르를 요리하는 감독이다 라고 하는 말에는 어딘지 모르게 과장이 섞여 있는 듯 하고 또 지독히도 상투적인  표현처럼 느껴지지만 그래, 적어도 나에게 있어서만큼은 이 말이 사실이리라.

난 김지운 감독의 열광적인 팬인데, 이상하게도 그의 영화를 때 맞춰 개봉관에서 본 기억은 '반칙왕'이 유일하다. '달콤한 인생' 같은 경우는 개봉 시기를 놓쳐 아주 열악한 환경에서 봐야만 했는데(신사역 근처의 시네마 오즈) 세상에 30석이 채 안되는 좌석에 벽면에는 집에서 쓰는 PC용 스피커가 달려 있는  극장은 난생 처음이었다. 그래도 김지운 감독의 신작을 본다는 생각에 마구 설레었던 기억이 난다.

센서티브한 사람은 외로운 사람이다. 외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그는 이야기를 만들고 있는 지도 모른다. 할 얘기가 참 많은데 어쩌면 다른 사람들이 자기를 알아주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소심해져 선뜻 나서지 못하는 사람이 김지운일지도 모른다. 아마 말로 했다면 다하지 못했을, 훨씬 재미가 없었을 이야기들이 '김지운의 숏컷' 이라는 책안에서 센스있는 글들로 살아난다.

김지운의 팬이라면 후회하지 않는다. 김지운의 팬이 아니라면 그를 사랑하게 될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