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5.2. ‘나팔’ 말밑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몇 해가 걸렸는지 모르겠으나, ‘나팔’ 말밑을 풀었습니다. ‘나팔·나발’을 굳이 ‘喇叭’이라는 한자에 꿰어맞추려는 분이 있으나, 우리말 ‘나풀거리다·나불거리다·너풀거리다·너불거리다’를 비롯해서 ‘나부대다·나부끼다’에 ‘나비·너비·날다·너울’을 두루 짚어 본다면, 수수한 사람들 삶자리에서 가만히 태어난 이름인 줄 엿볼 만합니다.


  옛글에 한자로 적혔으니 한자말일 턱이 없습니다. 옛글을 남긴 이들은 ‘말소리’만 따서 한자로 옮기기 일쑤였습니다. 이 얼거리를 안 읽고서 덥석 한자를 말밑으로 삼는다면, 우리가 오래오래 써 온 말씨에 깃든 살림살이와 숨결을 몽땅 잊거나 잃을 수 있습니다. 한자로 남은 옛글이 옛말을 모두 안 담습니다. 1100년이나 220년에 어떤 말소리로 이야기를 폈는지 남긴 글은 하나도 없는데, 글만 부여잡다가는 말빛을 놓칩니다.


  새벽에도 아침에도 낮에도 저녁에도 밤에도 《말밑 꾸러미》 넉벌손질로 하루가 흐릅니다. 차근차근 손질하니 끝이 나겠지요. 얼핏 끝없어 보이는 일을 하다가, 집안일도 하고 바깥일도 보고, 밥도 차리고, 빨래도 하고, 뽕꽃도 훑고, 후박꽃내음도 맡고, 낫을 갈고서 풀을 베고, 등허리를 펴고, 두바퀴를 달려서 나래터(우체국)에 다녀오고, 이러다 보면 “오늘도 마치지는 못 하는구나.” 하고 느끼지만, “이튿날 새로 기운을 내자”고 다시 생각합니다.


  어린배움터에 들어가서 신나게 뛰놀며 이모저모 배우던 어느 날, ‘나발·나팔’이 한자라고 가르치는 길잡이를 만나서, “설마! 아닐 텐데!” 하고 느꼈지만, 어른 앞에서 이런 말소리를 섣불리 낼 수 없었습니다. 곰곰이 헤아리면, 거의 마흔 해 만에 수수께끼를 풀어낸 셈이로구나 싶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4.30. 1010 + 1011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숲노래 책숲〉을 1010하고 1011을 나란히 엮습니다. 1010은 ‘노래꽃그림’으로 꾸리고, 1011은 조그마한 종이로 여밉니다. 숲노래 씨가 노래꽃을 쓰면, 사름벼리 씨나 산들보라 씨가 곧잘 그림을 담아 주는데, 두 분이 담아낸 그림 가운데 하나를 골라서 ‘노래꽃그림’을 꾸렸습니다. 이 하나만 책숲이웃님한테 띄우기에는 어쩐지 허전해서 1011로 ‘말밑(어원)’ 이야기를 넷 새로 갈무리해서 뒤쪽에 붙입니다.


  〈숲노래 책숲〉을 여태까지 읽은 분은 아실 텐데, 이 꽃종이는 ‘잔글씨’로 여밉니다. 눈이 어두운 사람은 못 읽는다는 핀잔을 익히 듣지만, 굳이 잔글씨로 여밉니다. “읽을 사람은 즐겁게 천천히 읽으면서, 말빛과 말넋을 새롭게 익히는 길동무로 삼기를 바라는 뜻”입니다. 마음이 있으면 잔글씨를 느긋이 읽어서 익힙니다. 마음이 없으면 큰글씨여도 처음부터 안 쳐다봅니다.


  얼핏 보면 크고작은 글씨이지만, 곰곰이 보면 “깨알글씨를 가만히 들여다보면서, 우리 마음에 작은씨앗을 닮은 낱말을 담을 수 있습니까?” 하고 여러분한테 여쭙는 셈입니다. 부디 늘 이 대목을 헤아려 주시기를 바랍니다. 작은씨앗은 그야말로 작아요. 나무씨도 풀씨도 꽃씨도 나물씨도 대단히 작습니다. 우리 마음을 일으키고 살리는 ‘말씨’ 하나도 깨알만 하게 마련입니다.


  2024년 4월 29일에 고흥교육지원청에 ‘숲노래 책숲’으로 삼는 ‘폐교 흥양초등학교’ 빌림삯(임대료)을 치렀습니다. 111만 1500원입니다. 누구한테는 잔돈일 수 있고, 누구한테는 목돈일 수 있습니다. ‘숲노래 책숲’한테는 이 돈이 목돈인 터라, 사름벼리 씨한테도 빌리고, 언니한테도 빌려서 삯을 대었습니다.


  고흥군수, 고흥교육지원청장, 고흥군의원, 고흥군 국회의원 가운데 아직 아무도 ‘숲노래 책숲’에서 이 시골자락을 ‘책빛씨’로 살리는 길을 어림조차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숱한 책숲이웃님이 있기에 다시 한 걸음을 딛고, 새로 《말밑 꾸러미》(어원사전)를 펴내려고 기운을 차립니다. 고맙습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4.26. 쓰는 손은 하나여도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꿈은 문득 그려서 품습니다. 몸을 잊고서 마음을 읽는 어느 때에 가만히 씨앗을 스스로 빚어서 온넋으로 바라볼 적에 꿈이 깨어나서 천천히 싹틉니다. 오늘 하는 숱한 놀이나 일이나 살림은, 모두 누구나 예전에 스스로 그린 꿈씨입니다. 잘하거나 못하는 일은 없습니다. 겪으면서 배우는 일입니다. 훌륭하거나 못난 일이 아닙니다. 맞아들여서 생각하고 살피면서 배우는 일입니다.


  넉벌손질(4교)을 하는 《말밑 꾸러미》입니다. ‘우리말 어원사전’을 손수 쓰고 여밀 수 있으리라고는 어림조차 못 했지만, 꿈씨는 진작에 심었습니다. 1992년에 《민중서관 이희승 콘사이스 국어사전》을 두 벌째 다 읽고서 “이 따위로 엮는 엉터리가 우리나라 국어사전이라면, 내 손으로 제대로 엮고 말겠어.” 하고 혼잣말을 하면서 책상을 쾅 내리쳤습니다. 한창 ‘자율학습’이라면서 잿집(시멘트 덩어리 교실)에 갇힌 어느 날 저녁 아홉 시 무렵이었어요.


  그런데 이 꿈씨는 이날 바로 잊었습니다. 심기는 했되 잊었지요. 이태 뒤인 1994년에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에 들어갔고, 네덜란드말을 익혀서 옮김빛(통·번역)이라는 길을 가려 했지만, 네덜란드 낱말책조차 없는 곳이 ‘대학교’라는 허울뿐인 줄 느끼고서, 이 따위 대학교도 그만두어야겠구나 싶었고, 이듬해에 바로 싸움터(군대)에 들어갔습니다. 돈·이름·힘이 없는 여린 사내는 어쩔 길 없이 언제라도 끌려가야 한다면, 제발로 먼저 들어가겠다고 여겼어요.


  강원도 양구 멧골짝에서 스물여섯 달을 구르면서, ‘군의문사’와 ‘군대폭력’과 ‘군납비리’를 뼛골로 지켜보았고, 다시 대학교에서 열두 달을 보내면서 ‘운동권 문제’를 곁에서 보고는 너무 신물났습니다. 이러는 동안에도 날마다 몇 군데 헌책집으로 책읽기를 다녔어요. 주머니에 오천 원을 넣고서, “오천 원어치 책”을 날마다 사되, 돈이 안 되어 못 사는 책은 서서읽기를 했습니다. 책을 읽는 동안 앉은 적이 없습니다. 책값을 치르지도 못 하면서 앉을 수 없다고 여겼고, 얼른 서서읽기로 하나를 끝내야 다음 책을 읽을 수 있거든요.


  이무렵에 혼자 ‘사전짓기’를 익혀 가는데, “어떻게 우리나라는 우리말을 다루는 어원사전도 없지? 국어학자란 놈들은 다 뭐 하나?” 싶었어요. 고등학생 때처럼 새삼스레 “그러면 내가 써야 할까? 그런데 그냥 국어사전도 아닌 어원사전은 어떻게 써야 하지?” 하고 마음에 대고서 물었습니다.


  정부·대학교·연구소에 깃들지 않은 채 글을 쓰거나 책을 낸다면, 더더구나 낱말책을 묶자면, 밥벌이를 할 길이 까마득합니다. 이런 살림길이라서 다른 곁일을 끝없이 하는데, 곁일로도 버거운 살림은 으레 언니가 도왔고, 여러 책숲이웃(도서관 후원자)이 함께 도왔습니다.


  읽고 쓰고 새겨서, 새롭게 여미고 가다듬어서 쓰는, 이러한 낱말책짓기(사전편찬)는 한 사람이 하되, 어느 한 사람이 낱말책짓기를 하도록 돕는 숱한 사람들 마음과 손길과 숨결이 있기에, 그리고 곁님과 아이들이 함께 보금자리를 일구면서 살림노래를 부르기에, 게다가 시골에서 숲빛을 늘 머금으면서 새한테서 배우고 풀꽃나무한테서 배우고 바람한테서 배우고 바다랑 하늘이랑 흙한테서 배우니, ‘쓰는 손은 하나’이되, ‘쓰는 손을 돕는 숨결은 온·즈믄·골·잘’입니다.


  셈틀로만 넉벌손질을 하다가 벅차서 펴냄터에 종이로 뽑아 주십사 하고 여쭈었습니다. 펴냄터에서는 아예 미리책(가제본)으로 꾸며서 보내줍니다. 고맙게 흐르는 마음과 손길과 이바지를 기쁘게 맞이합니다. 큰아이는 “내 통장에서 100만 원쯤 뽑아 줄까요?” 하고 묻습니다. 마음 같아서는 안 받겠다고 하고 싶지만, “그러면, 30만 원을 도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하고 절을 합니다. 살림돈뿐 아니라, 고흥교육청에 ‘폐교 사용료’를 목돈으로 치러야 하기에, 푼푼이 이 돈 저 돈 한창 모읍니다. 아무튼, 마무리를 짓고, 고흥교육청에 목돈을 치르고, 기지개를 켤 즈음에, ‘우리말 어원사전’을 만나려나 하고 헤아리는 봄날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4.20. 바보 이오덕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언제나 처음은 씨앗 한 톨입니다. 두 톨도 석 톨도 닷 톨도 열 톨도 온 톨도 즈믄 톨도 아닌 한 톨입니다. 모든 숲은 씨앗 한 톨부터 첫밗을 엽니다. 사람도 늘 첫걸음을 씨앗 한 톨로 뗍니다. ‘나’는 ‘낳은’ 숨빛입니다. 나로 낳은 ‘나’를 바라보고 품을 줄 알 적에 ‘날’ 수 있고, 훨훨 날면서 ‘놀’다가 문득 ‘너’를 만나는 길에 ‘너머’로 갑니다. 그런데 나를 잊을 적에는 ‘너무’ 한켠으로 기울면서 ‘넘치’게 마련이요, 언제 어디에서나 나를 찾고 보고 그리고 돌아볼 적에는 ‘너울거’립니다.


  숲노래 씨한테 부산이란 곳은 2000년 어느 날부터 이웃으로 스몄습니다. 1994년 3월에 들어간 뒤에 싸움터(군대)를 거치고서 1998년 12월에 그만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만난 동무 가운데 여태까지 이따금 말을 섞는 꼭 한 사람이 있는데, 부산내기입니다. 이 부산내기를 보려고 2000년에 처음 부산마실을 하면서 보수동책골목에 들렀다가 깜짝 놀랐어요. 이토록 아름책터를 품은 고장이 부산이라면, 부산사람은 서울바라기를 할 까닭이 없이 스스로 스스럼없이 스승길을 걸을 만하리라 여겼습니다.


  지난 2023년 가을부터 부산 동광동 〈곳간〉에서 ‘살림씨앗’ 배움모임을 함께 꾸리는데, 올 2024년 4월부터 부산 연산동 〈카프카의 밤〉에서 ‘이응모임’이란 이름으로 “이오덕 읽기 모임”을 함께 꾸립니다. 아마 2024년 5월부터 부산 거제동 〈책과아이들〉에서 ‘바보눈’이란 이름으로 또다른 “이오덕 읽기 모임”을 함께 꾸리려고 합니다.


  인천에서 나고자란 뒤에 서울에서 열린배움터를 다니다가 그만두고는, 보리출판사 영업부 일꾼으로 책마을에 발을 들이다가, 《보리 국어사전》 엮음빛(편집장)을 맡더니, 어느새 ‘이오덕 글갈무리(유고 정리)’를 하다가, 2011년부터 전남 고흥 깃새로 옮겨서 살아가는데, 인천서도 서울서도 전라남도에서도 아직 한 적이 없는 “이오덕 읽기 모임”을 부산에서는 두 갈래로 새롭게 꾸린다니, 스스로 보기에도 놀랍고 대견하며 대단하고 대수롭구나 싶어요. 이른바 ‘대박’입니다.


  여러 ‘대-’ 낱말을 슬쩍 읊어 보는데, ‘대’는 ‘대나무’에서 비롯한 ‘대’입니다. 뼈대요 꽃대이고, 장대에 바지랑대입니다. 속대에 ‘대다·기대다·대님’이고, ‘대차다·당차다’이면서, ‘대롱·빨대’예요. 그냥 우리말입니다. 그저 우리말이지요.


  이오덕 어른을 읽는 길은 어렵지도 쉽지도 않습니다. 누구나 그저 스스로 우리 삶으로 읽고서 우리 살림으로 풀고서 우리 사랑으로 익혀서 우리 노래로 품는 숲빛을 헤아리면서 뚜벅뚜벅 걸어가면 즐겁습니다. 받들거나 우러르거나 모시거나 섬기거나 올리거나 기려야 하지 않습니다. ‘어른’이란, ‘아이’ 곁에서 상냥하게 웃고 부드럽게 말하면서 기쁘게 북돋아서 함께 손을 잡고 걸어가는 어깨동무인 사람입니다. “이오덕 어른”이라 할 적에는 대단하거나 놀라워서 우리 손이 안 닿는 곳에 있는 분일 수 없습니다. “이오덕 어른”이라 할 적에는 우리가 오늘 이곳에서 스스로 어떻게 웃고 춤추고 노래하다가 놀고 쉬고 일하고 살림하는 마음인지 가만히 돌아보는 조그마한 씨앗이라는 뜻입니다.


  앞으로 부산 아닌 여러 고장에서도 “이오덕 읽기 모임”을 다르게 펴고 나눌 수 있습니다. 뜻하는 곳과 이웃이 있으면 스스럼없이 찾아갈 테니까요. 재미있게도(?) 광주·전남에서는 여태 어느 곳에서도 어느 분한테서도 “이오덕 읽기 모임”을 하자는 말을 들은 바 없습니다. 서울에서도 이런 말을 아직 못 들었습니다. 굳이 이오덕을 얘기하는 자리를 열어야 하지는 않고, 꼭꼭 이오덕을 살피는 마당을 펴야 하지는 않아요. 그저 이오덕이라는 씨앗 한 톨이 이 땅에서 우리 곁에서 어떻게 노래빛으로 피어났는지 되새기면서, 우리 마음씨에 우리 말씨를 얹고 우리 글씨를 놓고서 우리 목소리를 밝히면 넉넉하고 아름다울 뿐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말꽃 책수다



때 : 2024.4.23. 화. 18:30 ∼

곳 : 경기 부천 〈빛나는 친구들〉

님 : 숲노래



우리말이 어떻게 ‘평화’를 맺는지를, 왜 ‘쉬운말’이어야 평화로 나아가는지를 이야기하는 자리입니다. 책 하나를 사이에 놓고서, 또 여러 책을 곁에 놓고서, 말빛수다를 누립니다. 《쉬운 말이 평화》를 비롯해 여러 가지 책은 〈빛나는 친구들〉에서 살 수 있습니다. 부천여고 곁에 있는 〈빛나는 친구들〉로 마실하는 분은 이야기를 누리고, 말빛을 누리고, 생각을 틔우면서, 봄내음을 물씬 즐길 만합니다.


“우리말꽃 책수다”를 함께하는 분한테는, 숲노래 씨가 손으로 쓴 노래꽃(동시)을 한 자락씩 받을 수 있습니다. 전남 고흥에서 시외버스를 타고서 서울을 거쳐 부천으로 나아가는 길에 쓴 노래꽃을 누리실 분은 사뿐사뿐 마실하셔요.


4월 모임에서는 〈빛나는 친구들〉 이름에서 뒷자락을 딴 ‘동무(친구)’라는 낱말을 놓고서도 말밑(어원) 이야기를 함께 풀어냅니다. 지난 3월 모임에서는 ‘빛’이라는 낱말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엮어냈습니다. 우리말 ‘빛’하고 ‘동무’에 어떤 수수께끼하고 밑동이 깃들었는지 궁금하다면 기쁘게 만나서 수다꽃을 피워요.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