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으며 다니기


 자전거로 달려도 울퉁불퉁.
 두 다리로 걸어도 울퉁불퉁.
 버스 타고 움직여도 울퉁불퉁.
 울퉁불퉁이 싫어
 구석진 한 자리에 서서 책을 읽을라치면
 툭툭 치고 지나가는 수많은 사람들.

 우리 나라 길은
 책 읽으며 다니지 말라 하는 길. (4341.9.9.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방송작가란 사람들은 왜


 우리 딸아이 키우는 이야기를 몇 가지 글로 써서 띄워 놓았더니, ‘독특하게 키우는 육아 이야기를 취재하고 싶다’는 연락이 몇 군데에서 옵니다. 제 글을 읽었으면 틀림없이 ‘세이레가 되기까지 아기 사진은 아무한테도 안 보여준다’고 적은 대목도 보았을 터인데, 사진기도 아닌 촬영기를 들이밀려고 하는 마음을 어떻게 품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아니, 아찔합니다.

 오늘날 세상은 방송 타는 일을 대단한 자랑으로 알 뿐더러, 방송을 타 보려고 너나없이 나서는 판입니다만, 저 같은 사람은 그깟 방송에 나간들 어떠하고 안 나간들 어떠하랴 하고 생각합니다. 방송국 사람들이 어느 한 사람을 속깊이 제대로 취재한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없어서 조금도 믿지 못하고 있는 판이고요.

 전화번호는 어떻게들 용하게 알아내는지 놀랍습니다. 전화번호를 알아내는 그 마음씀과 손놀림만큼이라도, 아니 그 반이나 반만큼이라도, 자기들이 취재를 하고 싶은 그 사람이 어떤 마음이며 어떤 삶이며 어떤 매무새인지를 곱씹어 볼 수 있으면 고맙겠습니다. (4341.9.2.불.ㅎㄲㅅㄱ)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깜소 2008-09-03 15:57   좋아요 0 | URL
인천 배다리 못간지 몇 해 훌쩍~...^^ 96년인가 그랬을겁니다 아마도 님께서 혼자 만들어 놓으신 책자를 만난게..아벨서점에서요 늘 건강하세요~ 맘몸삶
 

 

 우리 나라 그림책


 한국땅에 옮겨지는 나라밖 그림책이 80%가 넘는다느니 90%가 된다느니 하는 이야기는 아무런 뜻이 없다. 70%라고 해도 너무나 많으며, 50%도 아니고 40%라고 해도 어마어마하게 많은 ‘나라밖 어린이책’이 우리 줏대가 하나도 담기지 않은 채 돈만 바라보면서 나오는 셈이다.

 가만히 살펴보면, 아이들이 보라고 엮는다는 그림책 한 권 값이 무척 비싸다. 고작 열여섯 쪽 하는 그림책은 8000원쯤 하고, 서른두 쪽쯤 되면 1만 원 안팎이다. 그러나, 이러저러한 책값은 책값이라고 치고, 오늘날 한국땅에 옮겨져 나오는 나라밖 그림책은 참말로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옮겨서 펴낼 만한 뜻이나 값이 있을까?

 돈 적은 집에서는 사서 볼 수도 없을 뿐더러, 도서관도 아주 적어서, 도서관에서는 사 주지도 않지만, 어쩌다가 도서관에서 사 준다고 해도, 이 책을 보려고 도서관 나들이를 하자면 몹시 힘든 우리 형편을 살펴본다. 우리 나라 도서관 가운데 어느 곳이, 느즈막하게 일을 마치는 여느 노동자들이 책 보러 갈 틈을 돌아본 적이 있던가.

 부자집은 부자집대로 한국 사회와 삶을 있는 그대로 살피지 못하도록 어릴 적부터, 나라밖 그림책, 알고 보면 서양 그림책에 길들어 버린다. 이와 마찬가지로 가난한 집은 가난한 집대로 한국 사회와 삶을 있는 그대로 담아낸 그림책이 거의 없기 때문에, 애써서 한두 권 그림책을 사 준다 한들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그림책을 펴내는 출판사에서 가난한 어버이들을 헤아리는 일이란 아직까지 한 번도 없는 줄로 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51권이라는 책

 
 문단에 어떤 힘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그렇게까지 큰힘을 낸다고 할 수 없는 어떤 분이 여태까지 51권에 이르는 책을 냈고, 앞으로 한 해 사이에 열 권을 더 낼 준비가 되었고, 오래지 않아 101권까지 책을 내려고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분을 훌륭하다고 보면 훌륭할 터이나, 나로서는 이분 책을 여러 권 읽고 살피는 동안, 그다지 마음에 와닿는 이야기가 없었기 때문에 참으로 뜻밖이라고 여겼는데, 쉰한 권이라는 숫자도 숫자이지만, 앞으로 백한 권을 넘어설 그분 책 숫자를 헤아리면서, 앞으로 쉰 해나 백 해쯤 지난 뒤, 이분 책이 몇 권이나 살아남아서 우리들한테 읽힐 수 있을까를 곱씹으면서 슬펐다. 눈물이 났다. 우리 나라에서는 자라지 않는, 아니 자라지 못하는 어마어마한 나무가 베어지면서 이분 책에 들어갈 종이로 쓰여야 하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산부인과에 있는 책은 ‘여성잡지’


 - 1 -

 집에서 아이를 낳으려고 오랫동안 알아보고 애쓰고 마련하고 집을 꾸며 놓았으나, 한 가지 챙기지 못한 대목이 있습니다. 새벽녘에 비가 올 때 집안 온도가 뚝 떨어지는 줄을 미리 헤아리지 못했습니다. 더운 날 아이를 낳게 되니, 더위에 아기 어머니가 힘들겠다는 걱정만 했습니다. 둘레 사람들은 한결같이 “왜 병원을 놔두고 집에서 아이를 낳으려고 하느냐”고 우리 두 식구를 괴롭히거나 들볶기만 했을 뿐, 정작 우리가 집에서 아이를 낳을 때 무엇을 더 살피고, 어느 대목에서 빠뜨린 곳이 있는가를 헤아리지 않았습니다. ‘(여름에도 온도를 뚝 떨어뜨리는) 비와 새벽 온도’는 두고두고 곱씹을 일입니다. 비록 첫 아이에서는 쓴맛을 보고 말았으나, 다음 아이한테는, 그리고 집에서 아이를 낳을 마음이 있는 다른 식구들한테는 ‘자칫 지나칠 수 있는 아쉬움’을 짚어 주면서 찬찬히 아기낳이를 할 수 있다고 다짐해 봅니다.


 - 2 -

 8월 16일 새벽 05시 33분에 병원에 닿아, 05시 36분에 분만실에 들어갔고, 05시 46분에 아이를 낳았습니다. 우리는 스물네 시간 동안 진통을 견디고 분만실에 갔기에, 여느 아기 어머니들처럼 무통주사니 촉젠주사니 항생주사니 맞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 산부인과에서는 회음부를 자르고 의사가 손을 집어넣어 아기를 잡아뺍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오늘날 거의 모든 산부인과에서는 ‘회음부 자르기’를 아주 자연스럽게 생각할 뿐더러, 회음부를 자르고서도 이런 아기낳기가 마치 ‘자연분만’인 듯 잘못 알고 있습니다.

 “최악이었어요.” 하고 말하는 옆지기를 개인병실로 옮깁니다. 병원에 발을 디딘 우리들은, 바로 이때부터 ‘아기 어머니’와 ‘아기 아버지’가 아닌 ‘환자’와 ‘보호자’입니다. 그리고, 산부인과 의사나 간호사나 ‘아기 어머니’를 흔한 상품과 마찬가지로 다루며 함부로 굴립니다. 이 사람들이 왜 이렇게 할까, 이 사람들은 학교 다니면서 의사 일과 간호사 일을 무엇이라고 배웠을까 하는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도, 의과대학이나 간호학교를 마쳤다고 해서 ‘의사 공부’와 ‘간호사 공부’가 끝이 아닙니다. 학교를 마치고 병원에서 사람들과 마주하게 되더라도, 의사와 간호사는 ‘사람 공부’를 해야 하고 ‘세상 공부’를 해야 합니다. 똑같은 시술이라고 해도, 백이면 백 모두 다른 사람이요 다른 몸이요 다른 몸입니다. 모두 다르면서 소중한 목숨임을 느끼며, 한 사람 한 사람 따순 마음으로 다스리고 껴안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만, 8월 16일 새벽에 병원에 들어와서 8월 18일 낮에 이르는 이제까지, 병원에서 부대끼는 의사와 간호사, 그리고 청소 일을 맡은 사람들한테까지도 ‘사람냄새’를 맡기가 몹시 어렵습니다.


 - 3 -

 지금 이 글을 쓰는 병원 골마루에는 셈틀 하나 놓여 있고, 〈여성○○〉, 〈우먼○○〉 하는 이름이 붙은 두툼한 잡지 몇 권 놓여 있습니다. 병실에는 칸마다 텔레비전이 있습니다. 하루 지내는 데에 9만 원을 치러야 하는 병실 어느 곳에도 ‘아기를 낳아 기르는 어버이’가 차근차근 읽고 되새길 만한 책 하나 놓이지 않습니다. 간호사가 일하는 자리에도 책 한 권 보이지 않습니다. 의사가 일하는 방에는 어던 책이 꽂혀 있을까 궁금합니다.

 올림픽 철이니, 침대에 드러누워 올림픽 응원만 하면 되는 산부인과일는지요. 저녁에는 연속극을 보며 울고 웃으면 되는 산부인과일는지요. 덩그러니 큼직한 방에 오로지 하나 있는 ‘문화시설’ 텔레비전은, 아기를 낳는 어머니와 아버지한테 무슨 뜻이 될는지요.

 아기 사진을 찍고 아기 동영상을 찍는 업체하고는 제휴가 되어 ‘무료 사진’을 주고 ‘무료 뭐’를 줍니다. 분유회사하고도 협찬이 되어 ‘무료 분유’ 한 통을 주고 또 무어를 줍니다. 그러나, 정작 아기 몸과 마음을 읽어내면서 함께 살아가는 길을 조곤조곤 들려주는 이야기책 하나 소개해 주지 않습니다. 아니, 소개해 줄 수 없다고 해야 옳지 싶습니다. 의사님과 간호사님부터 ‘아기 어머니와 아기 아버지가 처음부터 차근차근 읽고 새길 훌륭한 이야기책’으로 무엇이 있을는지, 먼저 읽어 보지 못하기 때문에요.

 먼저 읽어 보았다면, 먼저 읽어 보면서 가슴이 짜릿하고 뭉클하고 북받치는 무엇인가 있었다면, 병실이나 골마루에 여성잡지나 대충 쌓아 놓지는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방마다 텔레비전만 들여놓을 게 아니라, ‘아기 사진 무료 제공’ 같은 ‘서비스’가 아니라, 참으로 아이와 아이 어버이들이 어떤 마음으로 새 목숨을 맞아들이면서 이 세상을 힘차게 헤쳐 나가고, 기쁨을 함께 누리면 좋을지를 나누어 줄 수 있었으리라 봅니다. (4341.8.18.달.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8-08-18 22: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08-08-19 11:34   좋아요 0 | URL
아이고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