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구태여 헌책을 찾나요?

 


 어제 낮, 문화방송 어느 풀그림 사회자하고 만나보기를 했다. 이때 받은 물음 가운데 두 가지 대답. 이 자리에서 들려준 이야기에다가, 시간이 짧아 미처 말하지 못한 이야기를 덧붙여 본다.

 

- 물음 1 -
 “새책도 있는데, 왜 헌책을 찾으러 다니시나요?”

 “저는 헌책방만 다니지 않습니다. 새책방도 곧잘 다닙니다. 다만, 헌책방을 좀더 자주 다닌다뿐인데, 이달에 나오고 한 달이 지나면 그 책은 새책일까요 헌책일까요. 지금 나오는 책들 가운데에는 예전에 나왔다가 다시 나오는 책도 많습니다. 이런 책은 새책일까요 헌책일까요. 세계고전명작이라고 해서, 또는 한국현대소설전집이라고 해서 나오는 책이 있습니다. 리영희 전집이라든지 송건호 전집이라든지, 곧 나올 이오덕 전집이라든지 여러 가지 전집이 있는데, 이런 책은 새책일까요 헌책일까요. 교보문고나 영풍문고 같은 데 보면 스테디셀러나 베스트셀러라는 책이 있어요. 이런 책은 1999년부터 찍어서 파는 책도 있고 1980년에 나왔는데 여태까지도 널리 사랑받는 책이 있어요. 그래서 교보나 영풍에서는 2006년 12월에 찍은 판을 만날 수 있고, 헌책방에서는 1999년이나 1985년이나 1989년이나 2004년에 찍은 판을 만날 수 있는데, 교보에서 만난 책은 새책이고 헌책방에서 만난 책은 헌책일 텐데, 두 가지 책은 왜 이렇게 나누어야 할까요? 또, 책에 적힌 값을 빼놓고 새책과 헌책으로 나눈다는 일이, 책에 담긴 줄거리를 읽고 헤아리고 받아들이는 데에 뭐 달라지거나 영향 끼칠 대목이 있을까요? 저는 그저 책을 읽을 뿐입니다. 그래서 책을 바라보는 눈길, 우리 삶에 참으로 도움이 되고 제 자신을 있는 그대로 돌아보면서 가꾸는 데에 밑거름이 되는 책을 찾을 뿐입니다. 그런데 새책과 헌책을 억지로 나누면 책을 제대로 못 보고 말아요. 생각이 치우친달까요. 껍데기가 낡았다고 줄거리가 낡아질까요? 책에 김치국물이 묻었다고 줄거리에도 김치국물이 묻을까요? 책이 반드레하다고 줄거리도 반드레할까요? 책껍데기가 아름답고 멋져 보인다고 줄거리도 아름답고 멋질까요? 책 꾸밈새가 좀 어설프다고 줄거리가 어설플까요? 이름나고 훌륭하다는 분이 쓴 책이라고 모두 이름날 만하고 훌륭한 줄거리를 담을까요? 우리한테 낯선 글쟁이가 쓰고 처음 보는 출판사에서 낸 책이라고 줄거리가 허접하거나 보잘것없을까요? 이른바 ‘편견’이라는 것, ‘고정관념’이라는 것을 갖고 싶지 않아서, 제 생각과 몸과 마음을 자유롭게 풀어놓고 세상을 부대끼면서 제 자신을 가꾸고 싶어서 헌책방을 찾고, 헌책을 있는 그대로 느끼려 하고 있습니다.”

 

- 물음 2 -
 “책 만드는 일을 하신다고 했는데, 새책을 만드는 일이잖아요. 책을 만드는 몸가짐이라고 한다면?”

 “제가 헌책방에서 찾아보는 책은 여러 가지인데, 이 가운데 제게 참으로 고맙고 좋은 책은 ‘서른 해 앞서뿐 아니라 지금 읽어도 좋은 책’입니다. 또한 ‘서른 해 앞서 나왔는데 지금 읽어도 좋고, 앞으로 서른 해 뒤에 읽어도 좋겠구나’ 하는 느낌이 드는 책은 더욱 좋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금 새로 펴내는 책이라 한다면, 앞으로 서른 해 뒤에 누군가 찾아서 읽는다고 할 때에도 ‘참 좋구나’ 하는 생각을 할 수 있는 책을 엮어내려 합니다. 제가 책을 엮는 마음이라면 이런 것이고, 이런 마음을 고이 간직하면서 이어나가려고 헌책방 나들이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서른 해 앞서 나왔는데 지금 읽어도 좋다고 느낄 만한 책을 찾으면서, 제가 앞으로 걸어가야 할 길을 배운다고 할 수 있어요.”

 

 다른 물음도 몇 가지 더 있었으나 잊어 버렸다. 뭐, 짤막짤막한 신변잡기 같은 물음도 있었고. (4339.12.21.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시책 파는 헌책방은 꾸준히 는다

 


 고시책 파는 헌책방은 꾸준히 늘어납니다. 또, 이런 헌책방은 제법 장사가 잘되는 듯하고, 아직 ‘고시책 헌책방’ 가운데 문닫은 곳을 보지 못했습니다. 고시책을 파는 곳은 새책방도 적잖이 잘되지 싶습니다. 생각해 보면, 고시책이나 수험서를 찾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이런 책만 다루는 책방이 새책방이나 헌책방으로 얼마든지 문을 열 수 있겠지요. 매장으로든 인터넷으로든.

 

 그러고 보면, 사진책이나 그림책(미술―디자인까지)을 다루는 전문 헌책방, 인문사회과학책을 다루는 전문 헌책방, 시모음이나 소설책만 다루는 전문 헌책방, 전집이 아닌 낱권 어린이책을 다루는 전문 헌책방, 만화책만 다루는 전문 헌책방 들은 문을 열 수 없는 우리 나라입니다. 이런 책을 꾸준하게 찾는 사람이 적으니까요. 또, 이런 책을 꾸준하게 펴내는 출판사도 적고요.

 

 〈한겨레21〉에서 “2006 올해의 책”이라는 이름으로 별책부록을 내서 잡지를 사는 사람한테 덤으로 줍니다. ‘예스24’와 함께 기획해서 낸 별책부록인데, 이 책에 이름을 올린 “2006 올해의 책”을 보니, 우리 나라 사람들 눈높이를 헤아릴 수 있겠습니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책, 기자들이 알아보는 책, 평론가들이 책소개를 쓴다며 다루는 책이 무엇인가도 가만히 짚어 봅니다. 우리 사회에는 다양성이 없음을 새삼스레 느낍니다. (4339.12.17.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marine님의 "가난의 실체"

조지 오웰 님 이야기는, 이분 책 번역을 곧잘 하고 있는 박경서 님이 낸 <조지 오웰>(살림,2005)을 살펴보시면, 퍽 낱낱이 아실 수 있습니다. 넉넉하고 아늑한 삶하고는 평생 거리가 있는 채로 살다가 죽은, 그러니까 죽은 뒤 한참 지나서야 비로소 빛을 본 수많은 작가들 가운데 한 분이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