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나리꽃 (2018.5.13.)

― 전남 순천 〈책방 심다〉



  봄은 어디에서나 봄입니다. 닷달(오월)은 언제나 닷달입니다. 아주 오래도록 누구한테나 봄과 닷달은 고스란히 눈부신 빛살이었습니다. 맨몸으로 일하고, 두 다리로 걷고, 두 손으로 살림하는 사람으로서는, 봄빛을 온몸으로 맞아들이면서 닷달살림을 차근차근 여밉니다.


  2011년에 전남 고흥에 깃든 이듬해 닷달에 하얗게 올라와서 모락모락 번지는 흰꽃을 보고는 “너 참 곱구나.” 하고 느꼈으나 무슨 꽃인지 몰랐습니다. 2012년에 고흥으로 마실을 온 어머니한테 여쭈었더니 “어머, 넌 이 꽃도 모르니? 찔레잖아?” 하시더군요. 인천에서 나고자라는 동안 찔레꽃을 본 일이 있는가 하고 갸우뚱해 보았습니다. 2007년에 인천으로 돌아가서 날마다 한참 골목마실을 여러 해 했으나 찔레나무는 못 봤지 싶습니다.


  인천이건 부산이건 서울이건, 골목을 넓게 이룬 마을마다 골목이웃이 골목밭을 가꾸게 마련인데, 숱한 풀꽃나무 가운데 ‘찔레’만큼은 없지 싶습니다. 꽃찔레(장미)는 흔해도, 수수한 찔레나무를 눈여겨보거나 사랑하는 일은 드물어요. 찔레덩굴만큼은 큰고장에 남지 않은 채 시골에서만 고즈넉이 자라지 싶습니다. 그런데 시골에서조차 이 찔레는 거의 사라질 판입니다. 부채나무(미선나무) 걱정만 할 때가 아닙니다. 들살림과 멧살림을 이루는 숲정이가 사라지는걸요.


  순천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싹튼 〈책방 심다〉는 이제껏 순천내기나 순천시에서 안 하거나 안 보던 곳을 눈여겨보는 발걸음입니다. 순천에서 나고자랐기에 순천을 사랑하지 않습니다. “그저 이곳을 사랑하려는 마음으로 뿌리를 내리면서 아이 곁에서 살림을 짓는 마음”일 적에 마을사랑이 샘솟습니다.


  끝봄에 살랑이는 새길을 헤아립니다. 요새는 봄에도 함박비가 유난히 잦습니다. 함박비가 지나간 하늘은 남다르게 새파랗습니다. 봄이면 꽃송이가 큼지막한 나무도 눈에 뜨이는데, 멧꽃도 꽃나무도 ‘나리꽃’에 ‘나리나무’라고 할 만하지 싶습니다. 아니, 처음부터 이 땅에서는 ‘나리’라는 이름이 맞갖습니다.


  살림하는 손길이란, 사랑하려는 손길입니다. 글을 쓰거나 읽는 눈길이란, 사랑하려는 눈길입니다. 우리말은 토씨와 말끝을 어떻게 두느냐에 따라 사뭇 다릅니다. 살림살이나 들숲바다도 작은 손길이며 작은 풀꽃이 모여서 확 다르게 번집니다.


  마을책집이 살아갈 길이란, ‘새로 나온 책’을 잘 갖추는 길 못지않게 ‘이미 나온 책’을 눈여겨보면서 두루 알리는 길이 어울린다고 느낍니다. 두고두고 뿌리내릴 마을살림처럼, 두고두고 오래 건사할 책을 품어야 마을책집입니다.


ㅅㄴ


《나는 봉지》(노인경, 웅진주니어, 2017.6.20.)

《너에게만 알려줄게》(피터 레이놀즈/서정민 옮김, 문학동네, 2017.8.21.)

《고양이 수목원》(윤의진, 물고기이발관, 2017.9.1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바보눈 (2024.4.20.)

― 부산 〈책과 아이들〉



  1970년 가을에 온몸이 불꽃으로 타오른 전태일 님은 “일하는 어깨동무”를 이루고 싶은 꿈으로 ‘바보회’라는 이름으로 모임을 꾸렸습니다. 아직 배우지 않았으니, 아직 눈뜨지 않았으니, 이제부터 ‘바라보려’는 마음이니, ‘바보’라는 낱말로 스스로 돌아보는 매무새였다고 느낍니다.


  2024년 봄에 부산에서 또다른 “이오덕 읽기 모임”을 꾸립니다. “이오덕을 보면서 나를 바라본다”는 뜻에다가, “이오덕을 읽어 가면서 ‘나’라는 마음과 삶을 새롭게 바라보는 눈을 생각하고, 스스로 ‘나살림’을 쪽글로 적어서 모아 본다.”는 마음으로, ‘바보눈’이라는 이름을 쓰기로 합니다.


  어제 배운 우리는 어제만큼 알아요. 어제 배웠기에 오늘 안 배워도 되지 않습니다. 어제 밥을 먹었으나 오늘 굶어도 되지 않아요. 어제 숨을 쉬었으니 오늘은 숨을 안 쉬어도 되지 않습니다. 새로 배우고 거듭 배우고 다시 배우고 즐겁게 배우면서 이윽고 사랑으로 배우는 살림길을 짓기에 사람답다고 느껴요.


  문득 돌아보면, 해마다 3월 끝무렵부터 4월 첫무렵 사이에 가만히 피고서 흙으로 돌아가는 모과꽃도 ‘분홍’이라는 한자말로 가리킬 만합니다. 한여름에 피어나는 배롱꽃도, 늦겨울과 첫봄에 멧골을 물들이는 진달래도 나란한 꽃빛이에요.


  온누리 온사람은 늘 온숲과 온들을 바라보면서 빛깔을 읽었어요. 둘레를 물들이는 빛깔을 한 올씩 품으면서 아이들한테 빛말을 물려주었습니다. 한봄 한복판을 부드럽게 지나가는 하루에 생각을 기울입니다. 〈책과 아이들〉에 깃들어 그림책을 읽다가, 여러 어린책을 헤아리다가, 앞으로 우리가 새록새록 지필 이야기에 글에 노래에 살림을 짚다가, 어린이도 씨앗이라 어린씨이면서 어른도 씨알이니 어른씨라고 새삼스레 떠올립니다.


  말 한 마디도 씨앗이기에 아무 말씨나 쓸 적에는 아무렇게나 뒹굴어요. 글 한 줄도 씨앗이니 아무 글씨나 치덕치덕 바를 적에는 함부로 굴더군요. 무엇이든 다 해볼 만하고 겪을 만하고 치를 만하지만, 얄궂거나 사납거나 윽박지르는 바보짓을 마음에 담는다면 마음씨가 끙끙 앓아요.


  바다를 바라보듯 눈을 뜨려고 합니다. 바람을 바라듯 귀를 틔우려고 합니다. 밭살림을 짓고 밑바탕을 추스르듯 온넋을 깨워서 함께 천천히 걸어가려고 합니다. 부산 한켠에서 ‘이응모임’을 이으면서 잇기에 있고, 다른켠에서 ‘바보눈’을 꾸리면서 일구고 가꾸자고 생각합니다. 혼자 잇지 않아요. 홀로 일구지 않습니다. 서로서로 손을 내밀어 느긋이 느슨히 넉넉히 노느는 노래자리입니다.


ㅅㄴㄹ


《엄청나고 신기하게 생긴 풀숲》(다시마 세이조/고향옥 옮김, 우리교육, 2007.5.10.)

#田島征三

《파란 막대 파란 상자》(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이지원 옮김, 사계절, 2004.12.20.)

#IwonaChmielewska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나는 제비 (2024.4.23.)

― 서울 〈나무 곁에 서서〉



  고흥버스나루에는 제비집이 여럿 있습니다. 해마다 숱한 제비가 이곳으로 돌아와서 둥지를 손질해서 알을 낳고 새끼를 돌봐요. 시골이라지만 버스가 꾸준히 드나드는데, 제비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서 가볍게 날갯짓입니다. 그런데 지난겨울에 누가 제비집을 모두 헐었습니다. 꼬박꼬박 찾아와서 노래를 베푸는 제비를 시골아이한테 물려줄 마음이 아닌, 제비똥이 싫다거나 ‘감시카메라’에 집을 지어서 성가시다는 꼰대라고 하겠습니다.


  고흥 곳곳을 보면, ‘감시카메라’에 꽤 둥지를 틀어요. 왜 그곳일까 하고 갸웃해 보면, ‘처마’가 거의 사라진 오늘날은 ‘감시카메라’가 마치 처마 같아요.


  서울에서 시외버스를 내려 아홉길(9호선)로 갈아탑니다. 양천향교나루에서 내려 해바라기를 하려니 제비 둘이 휙 날아갑니다. 올해에도 서울제비를 봅니다. 서울에도 제비가 돌아오는데, 아마 모르는 분이 훨씬 많겠지요.


  서울제비가 궁금하다면 〈나무 곁에 서서〉를 찾아갈 일입니다. 이곳에서 책 두엇쯤 장만하고서 “그런데, 제비가 어디 있나요? 알 수 있을까요?” 하고 여쭤 보셔요. 매캐하고 시끄럽고 어지러운 서울 한복판이어도, 곳곳에 들풀이 돋고 나무가 자라면서 애벌레가 잎을 갉고서 나비로 깨어납니다. 하늘이 뿌연 서울에도 거미가 살고, 제비는 예전에 대면 퍽 버거울 만하지만 “아직 서울을 버릴 수 없다구!” 하는 마음으로 씩씩합니다.


  서울로 오는 길에 《서리북》이라는 책을 헤아려 보았습니다. 이 책을 엮고 쓴 분들은 ‘낡은 책글(서평)을 넘겠다’고 외치지만, 막상 《서리북》에 실린 글을 읽자면 “또다른 고인물로 또다른 글담을 세우는 굴레”인 듯싶더군요. 왜 ‘느낌글’이 아닌 ‘리뷰’를 쓰나요? 왜 ‘책’이 아닌 ‘북’을 쥐나요? 어린이와 푸름이가 다가설 만한 말결로 다독이는 글을 쓰기가 그토록 어려울까요? 아이들한테 물려줄 만한 책을 살피기가 그처럼 힘들까요?


  ‘교수·비평가’란 이름이 나쁘지는 않지만, 글담(문자권력)에 갇힙니다. 오늘 마실하는 〈나무 곁에 서서〉는 “수수한 아줌마와 살림꾼이라는 눈으로 책을 살피고 풀꽃과 숲과 새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책을 여민다고 느낍니다. 아줌마는 아줌마로서, 아저씨는 아저씨로서, 젊은이는 젊은이로서, 할매 할배는 할매 할배로서, 저마다 다르면서 나란한 마음으로 어깨동무할 적에, 책도 마을도 살림도 가꾸는 빛씨를 심을 만하리라 봅니다. 이제는 서울과 시골이 손을 맞잡고서 함께 새길을 찾는 이야기를 일굴 노릇이라고 느껴요.


ㅅㄴㄹ


《내가 잘하는 건 뭘까》(구스노키 시게노리 글·이시이 기요타카 그림/김보나 옮김, 북뱅크, 2020.4.10.첫/2020.6.15.2벌)

#くすのきしげのり #石井聖岳 #ぼくはなきました (나는 울었습니다)

《딸기 따러 가자》(정은귀, 마음산책, 2022.4.20.첫/2022.12.10.2벌)

《나무 내음을 맡는 열세 가지 방법》(데이비드 조지 해스컬/노승영 옮김, 에이도스, 2024.4.24.)

#ThirteenWaysToSmellaTree #DavidGeorgeHaskell

《강서추억탐구소설클럽》(김유이와 여섯 사람, 에픽로그, 2023.9.9.첫/2023.9.18.2벌)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빛씨를 심다 (2024.3.28.)

― 부천 〈빛나는 친구들〉



  레오 리오니 님이 남긴 그림책 가운데 《프레드릭》은 일찌감치 《잠잠이》란 이름으로 나왔고, 《매튜의 꿈》은 예전에 《그리미의 꿈》이란 이름으로 나왔습니다. ‘프레드릭’이나 ‘매튜’라는 이름을 살려도 안 나쁘되, ‘잠잠이’하고 ‘그리미(그림이)’처럼 새로 빚은 이름은 놀라우면서 아름답게 사랑입니다.


  가만히 잠기듯 빛으로 나아가는 길이 ‘잠’입니다. 온하루를 새롭게 일구려는 꿈이니 ‘그림’입니다. 우리가 어른으로서 어린이 곁에 서는 상냥한 숨빛이라면, 바로 ‘잠’하고 ‘그림’ 두 가지를 어질게 들려줄 노릇이라고 봅니다.


  부천 〈대성서적〉에 한참 책을 누렸습니다. 〈빛나는 친구들〉로 걸어갈까 하다가, 부천버스 8을 타려고 기다립니다. 꽤 오래 기다립니다. 안 기다리고 걸었으면 진작에 〈빛나는 친구들〉에 닿았겠거니 싶습니다. 그러나 늘 걸어다니는 삶인 터라, 이따금 일부러 버스를 타면서 다르게 마을을 바라보곤 해요.


  걷는 자리에서 보는 마을하고, 버스나 자가용을 타면서 보는 마을은 아주 다릅니다. 걷는 자리에서 보는 사람과 나무와 풀꽃이랑, 버스나 자가용을 타다가 휙 지나치는 사람과 나무와 풀꽃은 그지없이 다릅니다.


  철을 밝히는 ‘비’를 느끼고 알자면 걸어야 합니다. 아침저녁으로 갈마드는 ‘빛’을 느껴서 알려면 걸어야 합니다. ‘나’를 알고 ‘너’를 보려는 마음이라면 걸을 일입니다.


  천천히 해가 기웁니다. 해가 모두 넘어간 저녁에 마을책집에서 이야기꽃을 밝힙니다. 두런두런 이야기가 흐르다가 떡볶이도 사이에 놓습니다. 올해에 태어난 《우리말꽃》이란 책을 쓰담쓰담하다가, 말글지기라는 길을 걸은 서른 해를 돌아봅니다. 어느새 서른 해를 걸었더군요. 1994년에 틀림없이 “내가 앞으로 어느 길을 걷든, 서른 해쯤은 걸어야 빛을 볼 테지. 그런데 서른 해를 걸었어도 빛을 못 본다면, 그때에는 다시 서른 해를 걷자.” 하고 혼자 고요히 생각했어요.


  시골에서는 개구리가 깨어나서 노래하고, 봄맞이새도 찾아와서 함게 노래잔치인 밤입니다. 큰고장에서는 개구리도 봄맞이새도 풀벌레도 만나기 어렵습니다. 그래도 우리 보금자리에서 울리는 밤노래가 부천 기스락까지 퍼지리라 여기면서 길손집에 깃듭니다. 짐을 풀고서 씻고 눕습니다. 초 한 자루를 켭니다.


  촛불을 켜놓고 가만히 바라보노라면, 촛불에 사람이 나타나기도 하고, 여러 말소리가 들려요. 마음을 다스리는 짬을 내면, 언제나 스스로 피어납니다. 빛을 보는 마을길입니다. 빛을 그리는 살림길입니다. 빛씨를 심는 하루길입니다.


ㅅㄴㄹ


《출판햇, 1인 명랑 출판기》(공은혜, 마음모자, 2023.11.27.)

《엄마한테 가고 싶은 날》(박희정, 2022.10.20.첫/2023.6.1.2벌)

《출판문화 696》(편집부, 대한출판문화협회, 2024.1.8.)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이계은, 빨간소금, 2024.3.13.)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철마다 새롭게 (2023.4.15.)

― 부산 〈비온후〉



  여름은 맨발로 흙을 디디며 일하거나 놀기에 즐겁습니다. 가을은 가랑잎이 감겨드는 흙을 부드러이 어루만지면서 하늘빛을 머금기에 기쁩니다. 겨울은 시든 풀줄기가 싯누런 빛으로 사그락사그락 부서지는 소리를 들으면서 고즈넉합니다. 봄은 맨손으로 흙을 만지면서 햇볕을 쬐고 바람을 마시기에 반갑습니다.


  온나라에 마을나무랑 골목나무가 옅푸른 잎빛으로 맑게 번지는 철에 부산으로 마실합니다. 어제에 이어 오늘도 이야기꽃을 펼 텐데, 먼저 마을을 휙 돌아봅니다. 이미 한 바퀴 돌아본 마을이어도 다시 돌아봅니다. 예전은 예전이고, 어제는 어제입니다. 오늘은 오늘이요, 모레는 모레예요.


  우리 집 마당에서 날마다 보는 나무도 아침저녁으로 다릅니다. 나날이 다르고, 다달이 다르며, 철철이 다를 뿐 아니라 해마다 달라요. 으레 거니는 길이어도 모든 날마다 새롭게 보는 바람과 해와 소리와 숨결이 있습니다.


  같은 책을 되읽는 뜻하고, 같은 길을 다시 걷는 마음은 같아요. 쳇바퀴로 여기면 늘 똑같아 보여서 지겹거나 싫을 테지만, 언제나 새롭게 피어나는 삶인 줄 알아차린다면 “겉모습이 얼핏 비슷해 보여도 늘 다른” 결을 맞아들일 만합니다. 같은 책을 천천히 되읽을 적에도, 늘 새삼스레 깨달으면서 눈뜨는 밑동이 있어요.


  저는 아이를 낳아 돌보는 길이 ‘힘들다’고 느낀 적이 여태 없습니다. 이때에는 이렇구나 하고 느끼고, 저때에는 저렇네 하고 느낍니다. 이 일은 이렇게 하는구나 하고 배우고, 저 일은 저렇게 여미는구나 하고 고개숙입니다. 어설프거나 엉성한 매무새는 “아하, 이렇게 하니까 어설펐네” 하고 뉘우칩니다. “저런, 난 여태 이 살림길을 마음에 안 담았구나. 참 바보스러웠네” 하고 되새깁니다. 모든 하루는 즐겁게 배우는 꽃날입니다. 배우니 꽃날이요, 안 배우니 끄트머리인 벼랑입니다.


  새벽에 문득 떠올라 몇 가지 노래를 씁니다. 하나는 〈비온후〉라는 책집이름을 붙인 노래요, 둘은 “내가 안 쓰는 말”이라는 글머리로 잇는 노래예요. 이제까지 쓴 노래는 “내가 쓰는 말”을 글감으로 삼았는데, “나는 안 쓰되, 둘레에서 흔히 쓰는 말”을 놓고서 어떻게 달래어 풀어낼까 하는 마음을 담아 봅니다.


  수런수런 말이 오갑니다. 사근사근 이야기가 흐릅니다. 사람과 삶과 사랑이 맞물리는 실타래를 살짝 풀고서 길손집으로 돌아가는 밤에 생각합니다. 낱말책을 쓰고 책을 읽는 사람이기에, 길손집 책자리가 대수롭습니다. 책을 펴고서 읽을 뿐 아니라, 붓을 쥐어 글을 쓸 만한 자리가 느긋한 곳에서 하루를 묵으면 아늑해요. 한 손에는 호미를 쥐어 흙을 만지고, 다른 손에는 붓을 쥐어 꿈을 토닥입니다.


ㅅㄴㄹ


《헌책방에서 보낸 1년》(최종규, 그물코, 2006)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