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제도는 그리스 민주주의의 한계다. 물론 그리스에만 노예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고대 사회치고 노예 없는 사회는 없었기 때문이다. 노예제도는 '인간에 의한 인간의 착취' 유형 가운데 가장 원초적이고, 가장 지독한 것이다. 그래서 중세에 와서는 노예제 대신 농노제가 생겨났고, 현대에 와서는 식민지와 임금 노동이라는 새로운 착취 구조로 대체되었다. 이처럼 인간은 약육강식의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유사 이래로 끊임없이 투쟁해왔다. 그러나 투쟁의 성과가 금세 나타나지는 않았다. (208 페이지)

  노예제도는 발전의 장애물이다. 과학자들은 잘 인식하지 못하겠지만, 어쩌면 아니라고 말할지도 모르지만, 과학은 인간에게 쓸모가 있어야 한다. 자연으로부터 인간을 자유롭게 하고, 사회적 억압으로부터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과학이다. 최소한 그것이 과학의 존재 이유 중 하나다. 만약 과학적인 연구와 발견이 인간을 자유롭게 하지 못한다면 그 과학은 의미가 없고, 곧 소멸하고 만다.

  바로 그리스의 과학이 그랬다. 노예제도에 물든 나머지 기계를 발명할 생각을 하지 못했고, 과학은 무력해졌으며, 심지어 죽어갔다. 인간을 발전시키지 못한 그리스의 과학은 스스로의 울타리 안에 갇혔고, 사변적인 과학으로 전락했다. 발전이 있을 수 없었다. (222 페이지)

  고대 사회에 노예제도가 미친 영향은 비단 이것만이 아니었다. 한 사회에서 빈둥대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소수가 다수를 억압하게 되면, 그 사회는 내부적으로 분열될 것이며, 외부의 침략에 올곧게 저항하지 못할 것이다. 소위 이민족의 침입 이전에 그리스 사회는 이미 무너지고 있었고, 몰락하고 있었다. 그 원인이 바로 노예제였다. 

  그런데 왜 당시 사람들은 노예제도를 문제삼지 않았을까? 놀라운 사실은 그렇게 위대한 철학자들이 많았음에도 노예제도를 비난하기는커녕 오히려 옹호하고 나섰다는 점이다. 플라톤이 그랬고, 아리스토텔레스가 그랬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대놓고 노예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시민들의 사회가 건강하게 존속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생산하는 노예가 필요하다고 했다. 노예는 시민사회의 필수품이며, 심지어 인간들 중 일부를 노예로 만드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천성적으로 노예 기질을 타고난 사람이 있으며, 그들을 골라내는 것이 전쟁이라고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을 빌리면, " 전쟁은 복종하기로 되어 있는 자가 복종하지 않을 때 그들을 굴복시키는 수단이다." 이런 얼토당토않은 얘기가 우리가 위대한 철학자라고 추앙해 마지않는 사람의 입에서 나왔다. 결국 사람의 생각이라는 것은 자기가 처한 조건과 환경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223 페이지)


위의 글에서 특히 3가지를 곱씹게 된다: 1) 임금 노동이 노예제의 발전된 형태라는 부분, 2) 과학의 유용성이 사회에서 인정 받아야 된다는 주장, 3) 노예제로 인해 그리스 과학이 사변적 과학으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었다는 지적이다. 또한 노예제 등 부의 집중이 그리스 사회에 끼쳤던 악영향에 대해 오늘의 상황을 비추어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05년 5월 27일의 쓰시마 해전에서 일본이 승리한 이후, 러일 양국은 미국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의 주선으로 미국 뉴햄프셔 주의 포츠머스에서 강화협상을 벌였다. 일본은 인구는 3배, 영토는 50배 큰 러시아를 상대로 예상 밖의 승리를 거두었지만, 국고는 바닥나고 국민은 전쟁 부담으로 신음하는 상황이었다. 지리한 협상 끝에 1905년 9월 5일 서명된 포츠머스 조약에서, 일본은 뤼순 항에 대한 러시아의 권리, 사할린 섬의 절반 할양, 만주로부터 러시아 군대의 철수, 일본의 한반도 강점에 대한 러시아의 양해를 얻어냈지만, 간절히 바라던 전쟁 배상금은 받지 못했다. 이 소식이 일본 국내에 전해지자 일본 여론은 폭발했다. 폭동이 일어나 천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렇게 일본 국민의 여론이 폭발한 데에는 언론의 책임도 큼을 이 책은 지적한다. 국제정세와 현실에 대한 솔직하고도 냉철한 보도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 언론은 어떤가? 언론의 선정주의는 진정 극복할 수 없는 과제인가?


... The Japanese people received little candid or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world beyond their shores... Nowhere in the Tokyo newspapers was it reported that Russia was moving reinforcements into Manchuria and was evidently willing to fight on rather than meet the term demanded, or that Japan was tottering on the verge of national bankruptcy. Truthful appraisals of Japan's limitations were rarely aired in public, and that was another part of the tragic pattern that would lead to the Second World War. (p. xxix)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1960s constituted a mentality crisis for both the older and younger generations. Staring from their own pasts and backgrounds, everyone suddenly had to respond to an overwhelming series of changes. And this time the crisis was caused not by an economic depression, as it had been in the 1930s, but by its opposite: unparalleled economic growth throughout Western Europe; a striking increase in leisure time and mobility; an endless seri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the mass availability -- for the first time -- of cars, motorbikes and other luxury articles; a contraceptive pill that 'liberated' sexuality from the burden of reproduction after 1962; a decline in the ideal image of America as a result of the war in Vietnam, and the enormous rise of the television and the transistor radio, making young people from San Francisco to Amsterdam feel united in the same rhythm of life. (p. 6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 그곳 오늘 여기 - 아시아 이웃 도시 근대 문학 기행
김남일 지음 / 학고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아시아 근대 역사에 관한 문학 기행. 사이공, 교토, 상하이, 도쿄, 타이베이, 하노이, 오키나와, 그리고 서울에 얽힌 얘기다. 근대가 각 나라별로 어떤 의미였을까. 제국주의. 전쟁. 가해자와 피해자. 나오는 문학작품 중 읽은 것은 거의 없지만, 우리 이야기라는 것만으로 반가운 마음으로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n Europe : Travels Through the Twentieth Century (Paperback)
Geert Mak / Vintage Books USA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으며 내가 얼마나 행복한 시대, 행복한 곳에서 살고 있는지를 다시금 깨닫는다. 20세기 유럽의 역사를 보면 서로 죽고 죽이는 살육과 파괴의 역사라고 얘기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 유럽은 EU라는 공동체를 만들어 공동의 삶을 가꾸어 가고 있다. 문제가 없진 않겠지만, 그래도 살육의 역사를 뒤로 하고 이런 공동체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 자체가 희망이다. 한반도에도 희망이 넘치는 2020년대가 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