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폭 선생님 5
코쥬코 모리모토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5.10.

만화책시렁 648


《조폭 선생님 5》

 모리모토 코즈에코

 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03.9.15.



  싸움꾼은 싸울 뿐입니다. 좋거나 나쁘지 않습니다. 노래꾼은 노래할 뿐입니다. 나쁘거나 좋지 않습니다. 잠보는 즐겁게 잘 뿐입니다. 좋거나 나쁘지 않아요. 느림보는 느리게 할 뿐입니다. 나쁠 일도 좋을 일도 없습니다. 키가 크거나 작든 모두 어버이입니다. 얼굴이 어떤 모습이건 모두 아이입니다. 목소리도 매무새도 다 다른 사람이요, 풀꽃에 나무에 짐승에 바람입니다. 《조폭 선생님》은 길잡이나 어른이나 아이 누구라도 그저 다 다르게 태어나서 살아가고 자라면서 만나고 헤어진다는 줄거리를 다룹니다. 싸움무리(조직폭력배)를 이룬 집안에서 나고자란 아가씨가 어릴 적부터 스스로 주먹힘을 갈고닦았더라도 대수롭지 않습니다. 스스로 나아가는 길일 뿐입니다. 차츰 이리저리 밀려나면서 사랑받지 못 했다고 느끼는 아이들이 우르르 몰려다니면서 싸움질을 일삼지만,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직 철이 안 든 아이들을 다독이고 달랠 노릇입니다. 철이 없으면 어른 아닌 철바보입니다. 철바보 아닌 ‘철보’로 서서 ‘철지기’로 피어나기에 ‘어른’입니다. 아이들이 무엇을 배우면서 스스로 사랑씨앗을 품을 적에 아름다울는지 찾아나서기에 ‘길잡이’예요.


ㅅㄴㄹ


“네가 무슨 진짜 권투선수냐? 상대에 맞춰서 권투 같은 걸 하게.” “뭐? 뭔 소리야?” “우린 여기 스포츠를 하러 온 게 아니야. 살아남기 위해서 이기러 온 거라구.” (80쪽)


“어쨌든 좀 당황스럽군요. 난 지금까지 여자를 때린 적은 한 번도 없었는데.” … “걱정 마시죠. 얻어맞을 생각은 없으니까요.” (94, 95쪽)


“잘 봐! 저건 살인자의 눈이라구!” “그런 이유로 무조건 몰아붙이는 건 말이 안 되잖아.” (123쪽)


“진정들 해. 경찰 나리들께 작은 빚을 만들어 준 것도, 그리 나쁘진 않으니까.” (128쪽)


#森本梢子 #ごくせん


《조폭 선생님 2》(모리모토 코즈에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03)


자기 배에 품은 부동명왕 말이야

→ 우리 배에 품은 가운임금 말이야

→ 배에 품은 가운님 말이야

→ 배에 품은 굳은님 말이야

1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 Am a Bunny (Board Books)
Ole Risom / Golden books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9.

그림책시렁 354


《I am Bunny》

 Richard Scarry 그림

 Ole Risom 글

 Golden book

 1963/1991.



  우리나라에 열두띠가 있습니다. 열두 짐승에 빗대어 열두 삶길을 살피려는 뜻이요, 열두빛으로 열두살림을 짓는 마음을 익히자는 얼거리라고 느껴요. 저는 토끼띠로 태어난 터라, 토끼가 어떤 짐승이면서 숲빛인지 귀를 쫑긋했습니다. 오늘날이 아닌 먼먼 옛날, 어느 살림집이나 논밭을 돌보면서 숲을 품던 지난날에는 토끼를 어떻게 마주하면서 열두띠에 담았는지 헤아렸습니다. 요사이는 ‘토끼다’라는 말을 쓰지만, 예전에는 ‘톡톡·통통’이나 ‘토실토실’만 썼을 테지요. 가볍게 뛸 줄 아는 숨결이요, 발소리도 발자국도 웬만해서는 안 남기던 숨빛일 테고요. 《I am Bunny》를 읽으면서 ‘하늬녘에서 바라보는 토끼’를 생각합니다. 우리 나름대로 뭇짐승과 뭇벌레와 뭇새와 뭇헤엄이 살림길을 풀어내는 이야기를 여미어서 아이들한테 물려줄 노릇일 텐데 싶더군요. 리처드 스캐리 님은 ‘사람인 사람끼리만 살지 않는’ 줄을 여러 짐승빛 이야기로 들려줍니다. 그저 귀엽게만 그리지 않아요. 사람도 토끼도 쥐도 뱀도 돼지도 온누리를 이루는 이웃이라는 대목을 밝힙니다. 아직 우리나라 멧골에 멧토끼가 얼마쯤 남았다지만, 자칫 머잖아 사라질 수 있습니다. 범과 늑대에 이어 토끼마저 숲에서 사라진다면, 사람은 멀쩡할 수 없어요.


#RichardScarry #리처드스캐리 #숲노래아름책 #숲노래추천책

I Am a Mouse

the Rooster Struts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가 된 마녀 루시
리오넬 르 네우아닉 지음, 이재현 옮김 / 행복한아이들 / 2003년 7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9.

그림책시렁 1253


《엄마가 된 마녀 루시》

 리오넬 르 네우아닉

 이재현 옮김

 행복한아이들

 2003.7.15.



  어릴 적에는 “내가 짝을 만날 수 있을까? 난 이렇게 허술하고 허접한데?” 하고 돌아보는 나날이었습니다. 고삭부리에 어수룩한 몸과 말씨를 천천히 가다듬은 스물 언저리에도 “내가 싸움터(군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난 코로 숨도 잘 쉬지 못 하는데?” 하고 곱씹는 나날이었습니다. 그러나 ‘어제’를 몽땅 꾹꾹 누르면서 견디고 참고 버티었어요. 이렇게 서른을 넘기고 서른셋에 이르러 큰아이를 낳았고, 서른여섯에 작은아이를 낳습니다. ‘어버이·아버지’라는 삶을 걸을 줄 몰랐을 뿐 아니라, 어림도 못 했기에, 아이 곁에서 어떻게 살림을 지어야 즐겁고 아름다울는지는 생각조차 못 했습니다. 그런데 하나가 있어요. 아이들이 다 가르쳐 줍니다. 《엄마가 된 마녀 루시》는 짝을 만나기는커녕 아이를 품거나 낳거나 돌볼 삶을 엄두도 못 내던 루시가 ‘어버이·어머니’라는 이름을 받는 나날을 들려줍니다. 오늘날 숱한 젊은 엄마아빠는 루시와 비슷하리라 봅니다. 허둥지둥에 어리숙하고 어설플 뿐 아니라, 도무지 누구한테서 ‘어버이 살림짓기’를 배워야 할는지 까마득합니다. 그런데 언제나 매한가지예요. 아이들이 우리를 가르칩니다. 우리도 아기였을 때 우리 엄마아빠를 가르쳤습니다. 이 얼거리를 깨달을 수 있다면, 누구나 천천히 보금자리를 아름답게 사랑으로 지을 수 있습니다.


#LucieFerUnAmourDeSorciere #LionelLeNeouanic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튼 동물기
고은 글, 한병호 그림 / 바우솔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9.

그림책시렁 1412


《시튼 동물기》

 고은 글

 한병호 그림

 바우솔

 2012.9.24.



  사람은 안 죽습니다. 나무도 벌레도 안 죽습니다. “몸을 내려놓을” 뿐, 죽는 숨결은 없습니다. ‘어니스트 톰슨 시튼’은 처음부터 “안 죽는 삶”을 알지는 않았습니다. 바보처럼 겉멋에 들려 사냥놀이를 하던 시튼은 철딱서니없는 웃사내 가운데 하나였어요. 이러다가 늑대 로보한테서 뼈를 깎듯 삶을 배웠고, 사랑을 보았고, 살림을 찾아야겠다고 깨달았습니다. 《시튼 동물기》는 참 허접한 그림책입니다. 고은 씨가 추레질(성추행)로 이름을 드높이던(?) 때가 아니었어도, 어쩜 이렇게 추레한 글을 다 쓰나 싶도록 엉터리였습니다. 시튼이라고 하는 사람이 어떤 삶길을 걸었는지 눈여겨보지 않은 채, 차령이가 사랑하는 글을 ‘사랑 아닌 시샘’으로 쳐다보며 끄적인 글을 담았으니, 허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거듭 말하지만, 어느 누구도 안 죽습니다. 다만, ‘사랑’을 품지 않으면 ‘늙어’요. 그리고 ‘볼꼴사납’게 다시 태어납니다. 사랑을 품는 모든 숨붙이는 아름답게 다시 태어나지만, 사랑을 잊고 추레질을 일삼을 뿐 아니라 뉘우칠 줄 모르는 깜깜이는 굴레살이를 되풀이합니다. ‘한해살이풀’이라 여기지만, 씨앗을 남겨서 이듬해 봄에 다시 깨어나는 풀이 어떻게 ‘한해살이’일까요? 들숲바다를 등지니 얼뜬 글만 씁니다.


ㅅㄴㄹ


《시튼 동물기》(고은·한병호, 바우솔, 2012)


차령이는 책 읽는 걸 좋아해요

→ 차령이는 책읽기를 즐겨요

→ 차령이는 책을 즐겨읽어요

3쪽


잠자기 전에도 책을 읽어요

→ 잠자기 앞서도 책을 읽어요

3쪽


이리 왕 로보의 당당한 죽음 회색 곰 와프의 죽음이 좋아요

→ 이리 임금 로보 의젓한 죽음 잿빛곰 와프 죽음이 멋져요

→ 이리 꼭두 로보 다부진 죽음 잿곰 와프 죽음이 아름다워요

8쪽


늙고 병들자 저 스스로 독가스 골짜기 죽음의 골짜기로 가

→ 늙고 앓자 스스로 죽음바람 골짜기로 가

→ 늙고 아프자 스스로 죽음재 골짜기로 가

16쪽


지난날 왕으로 휩쓸던 일 회상하다가

→ 지난날 꼭두로 휩쓸던 일 떠올리다가

→ 지난날 힘으로 휩쓸던 일 되새기다가

19쪽


이 세상 생명은 다 죽는 거란다

→ 온누리 숨결은 다 죽는다단다

2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몽인 (일반판)
우라사와 나오키 지음, 서현아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7.

만화책시렁 601


《몽인夢印》

 우라사와 나오키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1.4.25.



  뽕나무 열매가 익으면 오디를 누리는 사람은 많은데, 푸릇하고 조그맣게 맺는 뽕꽃을 누리는 사람은 드뭅니다. 뽕꽃하고 어린 뽕잎은 나물로 알뜰합니다. 모든 나무꽃은 비바람에 으레 떨어지게 마련이라, 나물로 삼을 뽕꽃에 뽕잎을 한봄에 실컷 누릴 만합니다. 그런데 ‘뽕’이라는 말을 ‘마약·필로폰’을 가리키는 곳에 으레 쓰더군요. 왜 그러한가 살피니, 일본은 영어 ‘Philopon’을 ‘히로뽕(ヒロポン)’으로 소리내더군요. 이 소릿값에서 딴 ‘뽕’이에요. 《몽인夢印》은 ‘일뽕’에 사로잡힌 줄거리를 언제나처럼 들려줍니다. 그림님은 일뽕이 아니고는 도무지 붓을 못 쥐는구나 싶습니다. 뽕잎이라면 나쁘거나 사나울 일이 없습니다. 그렇지만 ‘마약·필로폰·히로뽕’에 맞은 듯한 일뽕이라면, 그만 스스로 종잡지 못 하는 채 헤매다가 “일본이 좋지!”로 맺습니다. 해롱해롱 비틀거리면서 얼뜬 붓끝이 나아가는 길은 어디일까요? 붓을 놀려서 이쁘거나 멋스러이 그리는 재주만 있을 적에는 얼마나 얼뜰 수 있는지 잘 보여주는 《몽인夢印》이라고 느낍니다. 부디 숲으로 가서 나뭇잎을 만나고, 나무내음을 맡아 보기를 바라요. 부디 들에 가서 맨손으로 풀내음을 맡고, 맨발로 풀밭을 거닐어 보기를 바라요. 그래야 일뽕을 벗습니다.


ㅅㄴㄹ


“고생 많았구나.” “말리는 게 좋겠죠? 이대로 있으면 아빤 진짜 도둑이 돼버릴 거야.” (139쪽)


“점수, 그런 건 아무래도 상관없심. 누드 비치에서 느긋하게 뒹굴 수만 있으면.” “저 까마귀는 왜 이름이 마리아지?” “까마귀니까 당연히 마리아심.” (160쪽)


+


《몽인夢印》(우라사와 나오키/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1)


말리는 게 좋겠죠?

→ 말려야겠죠?

139쪽


흥, 치사 빤스

→ 흥, 쪼잔해

→ 흥, 너무해

→ 흥, 찌질해

→ 흥, 얄미워

148쪽


이사가 잦은 놈은 조사하고 보라는 게 내 지론이거든

→ 자주 옮기는 놈은 알아보라고 말하거든

→ 뜨내기는 꼭 살펴보아야 하거든

15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