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5.1.

오늘말. 고약하다


겨울이면 눈송이가 춤짓으로 일렁이면서 내려앉습니다. 봄이면 꽃송이가 물결치면서 향긋합니다. 여름이면 잎빛이 너울너울 그윽합니다. 가을이면 온들이 노랗게 너울바람입니다. 철마다 논둑길을 걸으면서 다 다른 너울판을 마주합니다. 걷다가 하늘을 올려다보면 구름밭이 대단한 날이 있고, 그저 새파랗게 물든 날이 있습니다. 들과 숲은 들빛과 숲바람으로 상큼하지만, 이곳에 풀죽임물을 뿌리면 고약하지요. 살림물인 빗물이 아니라면, 살림길인 해바람이 아니기에, 온통 구린내가 코를 찔러요. 왜 죽임물을 만들어서 뿌릴까요? 왜 살림빛하고 등질까요? 까맣게 타버린 들풀을 보노라면 그만 후덜덜합니다. 풀죽임물은 풀만 죽이지 않아요. 풀벌레도 새도 나비도 죽이고, 물도 죽일 뿐 아니라, 마침내 사람까지 죽입니다. 흔들흔들 팔랑거리는 풀잎을 쓰다듬으면서 놀이집을 떠올립니다. 따로 마련해야 어린이집일 수 없습니다. 온누리 어디나 돌봄집일 노릇입니다. 우리 보금자리도, 골목과 마을도, 바다와 멧자락도, 온통 어린집이나 일터이나 한마당일 적에 이 나라가 아름다워요. 휘청거리는 굴레를 내려놓기를 바라요. 그만 기우뚱하고, 이제 풀빛으로 나부껴요.


ㅅㄴㄹ


놀이집·놀집·돌봄집·보살핌집·어린이집·어린집 ← 유치원


고리다·고린내·고린짓·고리타분하다·구리다·구린내·구린짓·구리터분하다·고약하다·찌르다·코를 찌르다·풍기다·울리다·움직이다·흔들다·휘감다·휘날리다·휘청·휩싸다·구름·구름떼·구름밭·구름물결·구름바다·기울다·기우뚱·기우듬·뒤뚱·뒤뚝·나다·나부끼다·나풀거리다·너울거리다·너울길·너울판·너울바람·너울결·추다·춤·물결치다·일렁이다·팔랑거리다·넘치다·대단하다·뜨고 지다·지고 뜨다·덜덜·후덜덜·떨다 ← 진동(振動)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일반대중·일반백성·일반시민



 일반대중의 관심을 지나치게 과장할 필요는 없다 → 사람들 눈길을 부풀릴 까닭은 없다

 일반대중들의 눈높이에 맞는 작품을 쓸 것을 요구한다 → 여느 눈높이에 맞춰 쓰기를 바란다

 점차 일반백성들이 이용하기는 더욱 어려워져 갔다 → 차츰 누구나 쓰기는 더욱 어렵다

 과연 일반백성들의 이익과는 별로 관계없는 것이 → 참으로 우리 몫과는 동떨어졌으니

 물론 일반시민의 참여를 유도하지만 → 다만 누구나 함께하기를 바라지만

 그 과정에서 일반시민의 의견을 청취한다면 → 이 길에 수수한 목소리를 듣는다면


일반대중 : x

일반백성 : x

일반시민 : x

일반(一般) : 1. 한모양이나 마찬가지의 상태 2. 특별하지 아니하고 평범한 수준. 또는 그런 사람들 3. 전체에 두루 해당되는 것

대중(大衆) : 1. 수많은 사람의 무리 2. [사회 일반] 대량 생산·대량 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 대다수의 사람. 엘리트와 상대되는 개념으로, 수동적·감정적·비합리적인 특성을 가진다 3. [불교] 많이 모인 승려. 또는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백성(百姓) : 1. 나라의 근본을 이루는 일반 국민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 국본·지민 2. 예전에, 사대부가 아닌 일반 평민을 이르던 말 ≒ 생치

시민(市民) : 1. 시(市)에 사는 사람 2. 국가 사회의 일원으로서 그 나라 헌법에 의한 모든 권리와 의무를 가지는 자유민 ≒ 공민 3. [역사] 서울 백각전(百各廛)의 상인들



  한자말로 ‘대중·백성·시민’이라 할 적에는 이미 ‘여느’라는 뜻이 깃듭니다. 이 한자말 앞에 ‘일반’을 붙이면 겹말입니다. 수수하게 ‘돌이순이·순이돌이’나 ‘둘레·이웃·이웃사람·들사람’이라 하면 됩니다. ‘들꽃사람·들빛사람·들내기·들꽃내기·들빛내기’나 ‘들꽃·들풀·길꽃·길풀’이라 할 만하고, ‘여느빛·여느꽃·여느사람·작은꽃·작은풀·잔꽃·잔풀’이나 ‘꽃·풀·풀빛·풀사람·초·촛불’이라 할 수 있어요. ‘바닥꽃·바닥풀·시골꽃·시골풀·앉은꽃·앉은풀’이나 ‘풀님·풀내기·풀꽃사람·풀꽃내기·풀빛사람·풀빛내기’라 하면 되고, ‘사람·사람들·옆사람·널리·누구나·우리’라 하지요. ‘수수하다·수수님·수수벗·투박하다·흔하다·흔한사람·흔한꽃’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일반백성들로서는 중용의 道를 오래 지키는 사람이 적은 것이다

→ 풀사람으로서는 가운길을 오래 지키기는 힘들다

→ 곧은길을 오래 지키는 여느사람은 적다

→ 바른길을 오래 지키는 사람은 적다

《論語新解》(김종무 옮김, 민음사, 1989) 133쪽


일반 대중을 위해서 신경 쓰는 일 중에 하나는

→ 둘레에 마음쓰는 일 하나는

→ 널리 마음쓰는 일이라면

→ 우리한테 마음쓰는 일로

《핀란드 디자인 산책》(안애경, 나무수, 2009) 153쪽


환경단체들의 끈질긴 반대운동이 내린천을 일반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고 말았다

→ 들풀모임이 끈질기게 맞서는 동안 내린내를 널리 알리고 말았다

→ 들꽃모임이 끈질기게 맞서는 사이 내린냇물을 외려 널리 알렸다

《후투티를 기다리며》(송명규, 따님, 2010) 164쪽


이렇게 맛있는 것을 일반 시민이 먹는 것은 사치라며

→ 이렇게 맛있는데 누구나 먹으면 꼴값이라며

→ 이렇게 맛있으니 여느사람이 먹기엔 배부르다며

《요리조리 세계사》(손주현·여희은, 책과함께어린이, 2019) 132쪽


일반 시민에게 책을 보급시키기 위해 식자율을 높일 계획도 잘 생각해 뒀어요

→ 사람들하고 책을 나누려고 글눈을 높이는 길도 잘 생각해 뒀어요

《책벌레의 하극상 2부 4》(카즈키 미야·스즈카·시이나 유우/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21) 17쪽


일반 백성들은 글자를 알 필요가 없다고도 생각했고

→ 사람들이 글씨를 알 까닭이 없다고도 여겼고

→ 누구나 글을 알아야 하지 않는다고도 보았고

《아빠가 들려주는 한글 이야기》(김슬옹, 한솔수북, 2022) 18쪽


한자는 어려운 글자인 데다 우리말과 맞지 않으니 시간 없는 일반 백성들은 깨칠 수가 없었어요

→ 중국글은 어려운데다 우리말과 맞지 않으니 바쁜 사람들은 깨칠 수가 없어요

→ 중국글씨는 어려운데다 우리말과 안 맞으니 벅찬 풀꽃사람은 깨칠 수가 없어요

《여기는 집현전》(손주현·이혜정, 책과함께어린이, 2022) 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7.


《행복한 어린이날》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글·일론 비클란드 그림/김서정 옮김, 문학과지성사, 2009.3.26.



해날을 맞이한다. 앵두나무는 하얗게 물결친다. 밤낮으로 하얗게 꽃빛과 꽃내를 베푸는 앵두는 더없이 놀랍다. 가지에 줄줄이 맺는 앵두꽃은 하나도 안 솎는다. 이 작은 꽃이 고스란히 작은 열매로 거듭나니까. 《말밑 꾸러미》 석벌손질을 마쳐서 펴냄터로 넘긴다. 멍하다. ‘어원사전’을 매듭지어서 내기까지 더 남았는데, 글손질을 한 벌씩 할 적마다 기운이 쪽 빠진다. 《행복한 어린이날》을 되읽는다. ‘불러비 마을 아이들’이 보내는 즐거운 하루를 담아낸 알뜰한 이야기책은 썩 사랑받지 못한 채 사라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렇게 아이들이 마을에서 스스로 놀이를 짓고 나누고 펴면서 노래하는 이야기책이 좀처럼 못 나온다. 글을 쓰는 어른부터 어릴 적에 못 놀거나 안 논 탓일까. 어릴 적에 놀기는 했어도 ‘어른이 되고 나서’는 ‘아이가 신나게 놀 터전’을 일구는 일에 마음을 안 쓴 탓일까. 어린이한테는 ‘놀이하며 노래하는’ 하루를 이야기로 물려주어야지 싶다. 놀이살림을 새롭게 가꾸고, 노래사랑을 새록새록 지으면서, 아이어른이 어깨동무하는 오늘을 어느 고장에서나 기쁘게 그려내야지 싶다. 어린이날 하루만 어린이누리일 수 없다. ‘의과대학’을 늘리기보다는 ‘어린이가 맨몸으로 뛰놀 들숲바다’를 늘릴 노릇이다.


#BarnensDagBullerbyn

#AstridLindgren #IlonWilkand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85 : 동네책방 필요 독자 대략 유형 거칠게


동네책방이 필요한 독자는 대략 두 가지 유형으로 거칠게 나누어 볼 수 있다

→ 들꽃책숲을 바라는 사람은 얼추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마을책숲을 오가는 사람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동네책방 생존 탐구》(한미화, 혜화1117, 2020) 33쪽


마을에 있는 책집은 ‘마을책집’입니다. ‘작은책터’요, 들꽃을 닮아 ‘들꽃책숲’이에요. 우리는 마을책터로 책마실을 갑니다. 여러모로 책을 바라기에 나들이를 해요. 이 보기글에는 “두 가지 유형”이라 나오는데, 겹말입니다. 군더더기 ‘유형’을 털어냅니다. “거칠게 나누어”는 잘못 쓰는 옮김말씨입니다. 더구나 “대략 거칠게 나누어”로 적은 셈이니, 겹말이기까지 합니다. ‘얼추’나 ‘크게’로 고쳐씁니다. ㅅㄴㄹ


동네(洞-) : 자기가 사는 집의 근처(<洞內)

책방(冊房) : 책을 갖추어 놓고 팔거나 사는 가게 = 서점

필요(必要) : 반드시 요구되는 바가 있음

독자(讀者) : 책, 신문, 잡지 따위의 글을 읽는 사람 ≒ 간객

대략(大略) : 1. 큰 모략(謀略) 2. 대강의 줄거리 ≒ 애략(崖略) 3. 대충 줄거리만 추려서 4. 대충 어림잡아서

유형(類型) : 1. 성질이나 특징 따위가 공통적인 것끼리 묶은 하나의 틀. 또는 그 틀에 속하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83 : 당신 상상 것 -ㅁ 후각 상기시키는 그 특별


당신이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래된 곳임을 후각에서부터 상기시키는 그 특별한 냄새 말이다

→ 그대 생각보다 훨씬 더 오래된 곳이라고 코로 느끼라는 유난한 냄새 말이다

→ 우리 어림보다 훨씬 더 오래된 곳이라고 냄새로 알려준다

《하나의 거대한 서점, 진보초》(박순주, 정은문고, 2024) 11쪽


우리는 어림으로 오래되었구나 하고 느끼곤 합니다. 냄새로 느낄 수 있고, 코로 큼큼 맡기도 합니다. “-ㅁ을 후각에서부터 상기시키는 그 특별한”은 온통 옮김말씨입니다. 우리말씨는 ‘-ㅁ을’이나 ‘-시키는’이나 ‘그’를 사이에 끼워넣지 않아요. “당신이 상상하는 것보다”도 통째로 옮김말씨입니다. “그대 생각보다”나 “우리 생각보다”로 고쳐씁니다. 냄새가 다르면 ‘다르다·남다르다’라 하면 되고, 냄새가 톡톡 튀면 ‘튀다·유난하다’라 하면 되어요. ㅅㄴㄹ


당신(當身) : 1. 듣는 이를 가리키는 이인칭 대명사. 하오할 자리에 쓴다 2. 부부 사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3. 문어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4. 맞서 싸울 때 상대편을 낮잡아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5. ‘자기’를 아주 높여 이르는 말

상상(想像) :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 봄

후각(嗅覺) : [의학] 냄새를 맡는 감각. 기체 상태의 자극물이 코의 말초 신경을 자극하여 생기는 감각을 이른다 ≒ 냄새 감각·취각·후감

상기(想起) : 1. 지난 일을 돌이켜 생각하여 냄 2. = 회상(回想)

특별(特別) : 보통과 구별되게 다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